학술논문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전이효과 분석
이용수 59
- 영문명
- A Study on the Transition Effect of Urban Regeneration College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조혜진(Cho Hye Jin) 정남수(Jung, Nam Su)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8권 제4호 (통권 제50호), 339~34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그램의 주민 전이효과를 분석하였다.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교육구성의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내용보다 교육방법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재생에 대한 교육 전이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교육구성과 토론, 실습, 학습교재 등 다양한 교육방법이 필요하다. 학습몰입이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다.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에서 주민이 학습에 몰입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교육 만족이 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향후 프로그램운영 시 교육 만족을 높이기 위해 마을에 맞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제시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rogram s resident transfer through the Urban Regeneration University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al composi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university program on the transfer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content and educational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It was found that education method had more influence than education cont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educational transfer on urban regeneration, various educational methods such as educational composition, discussion, practice, and learning textbooks that collect residents opinions are need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learning commitment on the transfer effect, significant results are shown. In the Urban Regeneration University program, the conditions for resi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learning should be cre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education satisfaction on the transfer effect,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education when operating the program in the future, new knowledge and skills suitable for the village must b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균형발전 지표 가중치 설정에 관한 연구
- 주거환경만족도와 주거이동의향 실증분석
- Q방법론을 활용한부동산중개업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 소규모 상가 분양가 할인율 결정 모형
- 도시재생대학 프로그램의 전이효과 분석
- 공유주택에 대한 친환경 계획의 개념과 특성 연구
- 지역주택조합사업의 추가분담금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창원지역의 근대농업유산 보존 및 활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
- 중소형 빌딩 개발사업의 리스크 요인의 중요도에 관한 실증분석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에서 소유자 변화의 공간적 분포
- 지방도시내 KTX 역세권으로의 주거이동 특성
- 우량점포를 위한 소매기업의 추월 전략
- 지속 가능한 AI 스마트 하우징 주거 서비스비즈니스 모델 구축을 위한 핵심 고객 가치
- 생활SOC와 도시재생사업이 주택거래와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공동주택 단지 내 텃밭관련 요인이 거주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주민편의시설의 효율성과 생산성 변화분석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arrier free Design in School Facilities : Focused on Cheonkwang middle and high school in Changwon
- 도시정비사업에서 시공자와 조합간의 분쟁 해소방안 연구
- 신혼부부 주거비용 지원사업의 효과분석과 주거상태 변화에 관한 연구
- 공동체의식과 주거환경이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 Changes to shop configuration in streets and merchant s awareness through the removal of enclosed arcades : A case study of 6 shopping streets in Osaka
- 커뮤니티 시설을 활용한 대피소 확보방안
-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은행대출의 행태변화 요인 분석
- GIS 기반 집적원리에 기초한 도시지역 상권의 구역별 특성 분석
- 서울시 주택가격의 양극화 현상과 근린주거환경과의 정합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