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중걷기회복과 수중앉기회복이 저항운동 후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및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3
- 영문명
- Effects of Recovery of Underwater Walking and Recovery of Underwater Sitting o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Blood Lactate, Double product and Muscle Pain after Resistance Exercise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박준식(Jun-Sik Park) 장태수(Tae-Soo, Jang) 정환종(Hwan-Jong Jeong) 김기홍(Ki-H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7권 제6호, 1646~1658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 후 수중회복방법의 차이가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통증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저항운동 경력 6개월 이상인 남자 7명을 대상으로 집중 웨이트 트레이닝과 서킷 웨이트트레이닝을 1RM의 60%강도로 실시한 다음 회복방법으로 수중걷기회복과 수중앉기 회복을 진행하였다. 성장호르몬은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테스토스테론은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았다. 혈중젖산농도는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았으며 집중저항운동 후 동적회복이 정적회복보다 낮았 다. 심부담도는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 후, 회복 후, 안정 시 순으로 높았다. 근통증은 모든 운동형태와 회복방법에서 운동직후, 회복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 순으로 감소하였다. 물속 환경에서도 동적회복이 정적회복보다 근피로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growth hormone, testosterone, blood lactate, double product, and pain, this study conducted intensive weight training and circuit weight training with 60% intensity of 1RM for 7 men who had more than 6 months of resistance exercise and then performed Underwater Walking and Underwater Sitting with underwater recovery. Growth hormone was high in all exercise forms and recovery methods in order of after exercise, after recovery, and after stability, and testosterone was high in order of after exercise, after recovery, and stability. Blood lactate was higher in all exercise forms and recovery methods in order of after exercise, after recovery, and after stabilization, and dynamic recovery after concentration resistance exercise was lower than static recovery. Double product was higher in all types of exercise and recovery methods in order of after-exercise, after-recovery, and stability. Muscle pain decreased in the order of exercise, recovery,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in all exercise forms and recovery methods. In the water environment, dynamic recovery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uscle fatigue than static recovery.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 과
4. 논 의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화친화산업의 현황과 뷰티시장의 접근 방향
- 씀바귀 부위별 용매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항염증 효과 비교
- 연소촉진제 첨가 및 팽연화 기술 개발을 통한 왕겨의 목재펠릿 사용 가능성 연구
- The Effect of Dementia Club Activit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 간호윤리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간호전문직관및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관련성 연구
- 베타시트 구조가 도입된 폴리아미노산 유도체의 피부활성에 관한 연구
- 인간 비만세포에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 서로 다른 측쇄 종류를 가진 주 단량체에 따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리적 특성
- 감성공학을 적용한 다중에멀젼 선블록크림의 자외선차단(UVA/B) 효과와 내수성 평가 연구
- 고유수용성 저항운동이 사회복지시설 이용 여성 노인의 근지구력, 동적 평형성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도덕적 고뇌가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 중년여성의 뷰티헬스케어행동이 신체적 존중감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수중걷기회복과 수중앉기회복이 저항운동 후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및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 도로 노면결빙 판정모델을 적용한 도로결빙 예측에 대한 연구
- Effect of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on Antioxidant
- Characterization of soil, vegetation, and soil fungal community in Cheongsu Gotjawal Forest
- 중학교 체육에서 교사의 열정과 자율성지지, 관계성지지, 그리고 그릿간의 구조적 관계
- Light Emitting Diode 조사가 피부상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운동 형태에 따른 노인 여성들의 건강관련 체력의 변화
- Synergy effect of legal highs with antibiotics
- 배양가능한 피부세균의 분리 및 동정
- 폴리인산 암모늄과 HMDI 기반으로 제조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물리적 특성 연구
- 하이드로겔 팩을 이용한 피부개선 효과 및사용감 평가
-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
-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및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 α-Bisabolol을 함유한 PIT Nanoemulsion의 최적화 및 피부흡수연구
-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 축구 선수 이미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이온성 액체와 고분자 기반의 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의 제조
- 재래식 된장으로부터 아민 산화 효소를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의 분리 동정
- 누리다 볼 운동이 중년 남성의 근기능, 척추정렬 및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중년 여성의 뇌교육 명상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