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간 비만세포에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이용수 42
- 영문명
- Anti-allergic Effect of Graviola Leaf Extract in Human Mast Cells
- 발행기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저자명
- 김대용(Dae-Y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제37권 제6호, 1764~1772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화학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가 인간 비만세포(LUVA 세포)에서 immunoglobulin (Ig) E-매개 알러지 반응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 (GLE)의 항알러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IgE로 감작된 비만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을 처리하였다. 비만세포의 IgE-매개 탈과립 실험 결과, GLE가 LUVA 세포에서 histamine, β-hexosaminidase, TNFα, IL-4 및 IL-6의 방출을 유의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GLE는 IgE 유도에 의한 Lyn과 Syk의 인산화를 억제하였고 그 하위 경로에 있는 MAPK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GLE가 비만세포 활성화 및 알러지 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는 GLE가 항알러지 효과를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at determining whether graviola (Annona muricata) beneficially influences immunoglobulin (Ig) E-mediated allergic reactions in human mast cells (LUVA cells). To examine the anti-allergic effect of graviola leaf extract (GLE), we treated antigen/IgE sensitized mast cells with extra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in vitro model of IgE-mediated mast cell degranulation showed that GL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release of histamine, β-hexosaminidase, TNF-α, IL-4 and IL-6 in LUVA cells. Pretreatment with GLE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of antigen-induced Lyn and Syk, thus suppressing the downstream MAPK pathways. The above results indicate GLE could suppress mast cell activation and allergic responses. Accordingly, it can be supported that GLE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목차
1. 서 론
2. 실 험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화친화산업의 현황과 뷰티시장의 접근 방향
- 씀바귀 부위별 용매추출 방법에 따른 항산화 활성 및항염증 효과 비교
- 연소촉진제 첨가 및 팽연화 기술 개발을 통한 왕겨의 목재펠릿 사용 가능성 연구
- The Effect of Dementia Club Activit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Dementia Knowledge, and Dementia Attitude in Nursing Students
- 간호윤리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간호전문직관및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관련성 연구
- 베타시트 구조가 도입된 폴리아미노산 유도체의 피부활성에 관한 연구
- 인간 비만세포에서 그라비올라 잎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 서로 다른 측쇄 종류를 가진 주 단량체에 따른 수성 아크릴계 점착제의 물리적 특성
- 감성공학을 적용한 다중에멀젼 선블록크림의 자외선차단(UVA/B) 효과와 내수성 평가 연구
- 고유수용성 저항운동이 사회복지시설 이용 여성 노인의 근지구력, 동적 평형성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도덕적 고뇌가 인간중심돌봄에 미치는 영향
- 중년여성의 뷰티헬스케어행동이 신체적 존중감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수중걷기회복과 수중앉기회복이 저항운동 후 성장호르몬, 테스토스테론, 혈중젖산농도, 심부담도 및 근통증에 미치는 영향
- 도로 노면결빙 판정모델을 적용한 도로결빙 예측에 대한 연구
- Effect of Aucklandia lappa Decne Extract on Antioxidant
- Characterization of soil, vegetation, and soil fungal community in Cheongsu Gotjawal Forest
- 중학교 체육에서 교사의 열정과 자율성지지, 관계성지지, 그리고 그릿간의 구조적 관계
- Light Emitting Diode 조사가 피부상태 개선에 미치는 효과 연구
- 운동 형태에 따른 노인 여성들의 건강관련 체력의 변화
- Synergy effect of legal highs with antibiotics
- 배양가능한 피부세균의 분리 및 동정
- 폴리인산 암모늄과 HMDI 기반으로 제조된 수분산 폴리우레탄 수지의 물리적 특성 연구
- 하이드로겔 팩을 이용한 피부개선 효과 및사용감 평가
- 코로나-19 확산 속에서 손 씻기 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지적장애 아동들의 손 씻기 빈도와 방법에 미치는 영향
- 여자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 Cinnamomum loureiroi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 스위스 볼과 탄성 밴드를 이용한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의 체력 및 근감소증 지표에 미치는 영향
- α-Bisabolol을 함유한 PIT Nanoemulsion의 최적화 및 피부흡수연구
-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 축구 선수 이미지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이온성 액체와 고분자 기반의 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의 제조
- 재래식 된장으로부터 아민 산화 효소를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의 분리 동정
- 누리다 볼 운동이 중년 남성의 근기능, 척추정렬 및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중년 여성의 뇌교육 명상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회복탄력성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화학공학분야 BEST
- 생태학적 이론에 근거한 성인 중도장애인의 장애수용 영향요인
- 그린워싱 인식에 따른 친환경 화장품 구매성향과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연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공학 > 화학공학분야 NEW
- Glycyrrhiza glabra L. 유래 Glabridin의 피부 및 미용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백 스쿼트 시 가변저항이 스티킹 포인트에 미치는 영향
- 골프 레슨자가 인식한 레슨프로의 코칭 행동이 레슨만족 및 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