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ducational Meaning of Song Siyeol s Chinese Poetry During Exile in Jeju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성태(Seo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주도연구 제44권,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송시열은 송자라 일컬어질 정도로 조선시대 후기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는 숙종의 세자 책봉에 반대하다 83세에 제주도로 유배를 왔다. 제주도는 극변인데다 조선시대에는 출륙금지령으로 인해 교육을 비롯하여 정치, 경제, 문화적인 혜택을 받기 어려웠다. 그래서 정치적인 이유로 제주도에 온 유배인들은 당시 사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사대부는 본질적으로 정치인이자 교육자였기에 교육적 영향력도 상당했다. 대표적 인물이 송시열이다. 그는 제주향교에서 책을 빌려 적소에서 손자를 비롯한 여러 사람들과 함께 읽으며 토론을 벌였고, 시간적 여유를 활용하여 저술활동을 펼쳤다. 유배지라는 공간적 한계에 머무르지도 않았다. 편지를 주고받으며 문인들과 학문적 토론을 나눴다. 비록 제주도에 머문 시간이 100여일에 불과하였지만 교학활동에 이바지한 바가 컸기 때문에 서원 배향이 엄격히 금지되던 시기에도 귤림서원에 배향되었다. 특히, 송시열은 제주에서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한시 9편을 지었다. 그는 시를 통해 공부론적 측면에서 토론의 중요성을 드러냈고, 수양론적 측면에서 오륜을 체화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송시열의 제주유배생활을 기록한 글은 많이 있지만 그가 직접 쓴 글을 통해 그가 제주도 교육에 끼친 영향을 탐구하는 것은 직접적인 연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깊다. 나아가 송시열은 제주를 떠난 후에도 그의 문인들이 행정가나 유배인으로 제주도에 와서 교육활동을 활성화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Song Siyeol influenced late Joseon Dynasy as much as he was called Songji . He was exiled to Jejudo because he opposed King Sukjong s decision of installation of crown prince. People in Jejudo had difficulty in getting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benefit including educational one because Jejudo is the frontier and thers was the ban from leaving Jejudo. Knock-out politicians who were exiled to Jejudo wielded important influence. The Confucian nobility was a politican and educator, so his or her educational influence was considerable. Song Siyeol also borrowed some books from hyanggyo, read and debated one another with people including his brothers and grandson, and wrote books. Additionally, he was not confined to a place of exile. Even if he stayed in Jejudo for about 100 days, his contribution to education in Jejudo was great, so he was canonized into a Confucian memorial hall, Gyulimseowon although canonization was strictly prohibited then. When Song siyeol was canonized at Gyulimseowond after Gim Jeong, Song Insu, Gim Sangheon, and Jeong On, five sages in Jejudo was decided. Canonization of five sages is significant as the work of confirming pedigree of Dotong. Especially, Song Siyeol wrote 9 poems. Even though there are many records about Song Siyeol s life during exile in Jeju, it s significant to study his influence on education in Jeju through his writings because we can grasp direct associative relation. Song Siyeol gave two kinds of influence on education in Jeju. One is the theory of study, the other is the theory of cultivating mind. Song Siyeol showed that debate is one of the best method of study. Also he exemplified himself as Oryun which refers to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actical morality of Confucian ideas, that is justice and righteousness between king and subject; affection between father and son; etiquette between husband and wife; discrimination between young and old; trust between friend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선량한 국제 시민성’과 보건외교: 대중동 지역(Greater Middle East)에 대한 튀르키예의 보건외교 정책 분석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자기결정성이론과 지속가능지능으로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통한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동의도에 대한 연구 - 제주 동백동산 습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Assessing Continuity and Change: Transactional Diplomacy in Trump’s Middle East Policy Across Two Terms
- 아랍의 봄 이후 이주민 교육제도 비교 연구: 유럽 6개국을 중심으로
- 내전 배경 무슬림 난민의 자살 위험 요소 차이 분석: 한국과 이집트 비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