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s IPS Really Improving Employment? A Meta-Analysis of Work Variables in Supported Employment
이용수 16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김민(Min Kim) Stephen Leierer 나운환(Woonhwan Na)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4권 제4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 전통적인 직업재활 서비스와 개별 배치 및 지원 (IPS)의 효과를 비교하고(2) IPS로부터 혜택을 받은 정신장애인 그룹을 구분하여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연구는IPS의 업무관련 변수를 중심으로 정신장애인을 위한 IPS 연구를 다양하게 수집하였으며,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면 업무관련 변수는 근로 기간, 근로 시간 및 임금($)을 조사하였고, IPS 효과에 대한 2개의 하위 그룹(연령 및 교육 수준)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는 IPS 개입이 총 근로 일수, 총 근로 시간, 임금을 크게 증가 시켰다는 것을 알아냈다. IPS 중재에 따른 효과 크기는 전통적인 직업재활 서비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위 그룹 분석에서 참가자들의 교육 수준은 IPS 중재의 효과 크기에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IPS 개입이 정신장애인에게 매우 효과적이며, IPS 개입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최종학위에 따른 (고등학교 졸업) 개인에 대한맞춤형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1)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placement and support (IPS) compared to traditional vocational services and (2) which subgroups with mental illness benefited from IPS. This study collected international IPS research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reports a meta-analysis of work related variables of IPS. Specifically, total weeks of work, total hours of work, and total wages earned ($) were examined and two subgroups for the effects of IPS - age and education level - were assessed. This study found that IPS interven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otal weeks worked, hours worked, and wages earned. The effect size of receiving IPS intervention was higher than compared with traditional vocational services. In the subgroup analysis, participants’ education level was significant for the effects of IPS interven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PS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a specific strategy would be developed for individuals with high school degree to improv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Researches on People with Kidney Disabilities: Trends Analysis
- 척수손상환자의 보행기능 향상을 위한 음악 동조화 자극 적용 사례
- 장애인거주시설 중증발달장애인 의사소통 지원에 대한 생활재활교사 인식 및 요구 분석
- 자산형성 통합지원사업에 참여했던 장애가정 청소년의 경험연구
- 사회적 자본이 4차 산업혁명 인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iveness of Senior Center Programs in South Korea: A Meta-analysis
- Is IPS Really Improving Employment? A Meta-Analysis of Work Variables in Supported Employment
- 작업기반 중재 수행 경험을 통한 작업치료사 직업정체성 찾기 과정연구
- Research Trends on Social Support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e Last 40 Years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