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얌빈 생육과 괴경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재배요인
이용수 6
- 영문명
- Cultural Practices Affecting the Growth and Tuber Yield of Yam Bean (Pachyrhizus erosus L.)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남효훈 권중배 이중환 손창기 서영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2권 제1호, 38~4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새롭게 도입된 얌빈의 국내 재배기술 확립을 위하여 육묘조건, 적심, 적화, 재식밀도 등의 재배요인에 의한 생장과 수량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얌빈은 P.E. 하우스내에 전열온상을 설치하여 평균 22℃로 유지하여 30일(적산온도 650℃)육묘하면 건전묘 생산이 가능하였다. 트레이 규격에 따른 출현특성의 차이는 없으며, 셀 크기가 클수록 묘 생장량이 증가하지만 육묘효율, 이식작업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128공 트레이가 적합하였다. 7월 하순에서 8월 상순에 120 ㎝ 높이에서 적심을 하면 수량이 23% 가량 많아지며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 사이에 적화를 하면 괴경수와 괴경중이 증가하여 수량이 32% 가량 많아진다. 50 ㎝×30 ㎝로 정식하였을 때 관행 100 ㎝×30 ㎝보다수량이 30% 증가하였다. 적심, 적화, 재식밀도 최적조합처리는무처리에 비해 경제적으로 107%의 이익적인 요소가 발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얌빈의 최적 재배기술 적용을 통해 국내에서 새로운 소득 작목으로서 유망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domestic cultivation system of a newly introduced yam bean(Pachyrhizus erosus L.). Growth and yield were investigated in response to various cultural practices, such as seedlingraising, planting distance, pinching, and flower pruning. Optimum conditions for raising of seedling were an averagetemperature of 22℃ for 30 days. Considering of the raising efficiency and the convenience of transplanting, 128 cells pertray was a suitable size. When pinching at a height of 120 ㎝ from late July to early August, yield increased by 22%compared to no pinching. Flower pruning between late August and early September increased the number of tubers andtuber yield by 32% in comparison with no flower pruning. Yam bean seedlings planted at 50 ㎝× 30 ㎝ spacing resulted in30% yield increase as compared to wider spacing of 100 ㎝× 30 ㎝. Our results thus suggested that the optimal combinationof cultural practices (50 × 30 ㎝ planting distance, pinching at 120 ㎝ height, and one time of flower pruning) increaseprofitability by 107%. All these results suggest high possibility of yam bean as a new income crop in Korea.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Genus Melilotus in Korea: M. officinalis and M. indicus (Leguminosae)
- 입지환경 특성에 따른 팔공산 자연공원 갓바위 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차이 분석
- 점봉산 참당귀 자생지의 생장 및 유용성분 특성
- 얌빈 생육과 괴경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재배요인
- 국외 도입 열대․ 아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실태 및 과제
- 경정배양에 의한 한국 자생 비비추속 식물의 기내증식
- 식물환경복원 소재선발을 위한 국화과 15종의 생육 및 중금속 축적능 분석
- 돌산도(여수시)의 관속식물상
- Optimization of Shoot Induction, Histological Study and Genetic Stability of in vitro Cultured Pisum sativum cv. ‘Sparkle’
- 국내자생 팥배나무 11개 천연집단의 잎 형태적 특성과 변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