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외 도입 열대․ 아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실태 및 과제
이용수 113
- 영문명
- Current Situations and Prospects on the Cultivation Program of Tropical and Subtropical Crop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저자명
- 김창영 김영호 한신희 고호철
- 간행물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제32권 제1호, 45~5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후변화 적응과정에서 도입 작물의 국내 재배실태를 조사하고 대응과제를 도출코져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다음과 같다. 도입 열대·아열대 채소 재배현황(2015년 기준)은18작목으로 재배농가수는 920농가, 재배면적은 321 ㏊로 조사추정되었고, 재배면적이 많았던 작물은 울금, 여주, 아스파라거스, 삼채, 허브류 순이었다. 도입 열대·아열대 과수류 재배현황은 2015년 국내재배 농가수와 재배면적은 264농가 106.5㏊로 추정되며, 전년대비 각각 51.7%와 83.7% 증가하였다. 도입 특약용작물 재배현황(2015년 기준)은 10작물로 753농가에서 재배면적 276.3 ㏊로 조사 되었으며 재배면적이 많았던 작물은 강황, 감초, 마카, 모링가, 포포나무 순이었다. 도입 열대·아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내 재배적응성 검정에 의거 재배환경면에서의 안전성과 경제성이 있어야 하며, 생산물의 이용과 유통 및 판로의 확보 문제, 외국현지 수입산과의 경쟁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국가 간 이동에 따른 생물다양성협약 등 국제협약 및 국내 종자산업법에의하여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process of adapting climate change,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policy and technical supportnecessary for growing promising crops imported from abroa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and analyzethe conditions of growth of imported foreign crops and to derive response tasks. As a result, tropical and subtropicalvegetables were cultivated 18 crops in 920 farms in 321 ha area (in 2015 year). The cultivation scale decreased in the orderof Curcuma aromatica, Momordica charantia, Asparagus aethiopicus, Allium hookeri and Herbs. Tropical and subtropicalfruits were cultivated 9 crops in 264 farms in 106.5 ha area (in 2015 year). Special and medicinal crops introduced abroadcultivated 10 crops in 753 farms in 276.3 ha area (in 2015 year). The cultivation scale decreased in the order of Curcumalonga, Glycyrrhiza uralensis, Lepidium meyenii and Moringa oleifera.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domestic growth oftropical and subtropical crops introduced abroad, there should be safety and economic feasibility in terms of the cultivation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omestic culture adaptation test.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the use of locally grownproducts in Korea, the securing of distribution and sales markets, and the competitiveness of imported product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wo Unrecorded Alien Plants of Genus Melilotus in Korea: M. officinalis and M. indicus (Leguminosae)
- 입지환경 특성에 따른 팔공산 자연공원 갓바위 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차이 분석
- 점봉산 참당귀 자생지의 생장 및 유용성분 특성
- 얌빈 생육과 괴경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재배요인
- 국외 도입 열대․ 아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실태 및 과제
- 경정배양에 의한 한국 자생 비비추속 식물의 기내증식
- 식물환경복원 소재선발을 위한 국화과 15종의 생육 및 중금속 축적능 분석
- 돌산도(여수시)의 관속식물상
- Optimization of Shoot Induction, Histological Study and Genetic Stability of in vitro Cultured Pisum sativum cv. ‘Sparkle’
- 국내자생 팥배나무 11개 천연집단의 잎 형태적 특성과 변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치유농업의 현황 및 특성 분석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대형마트 PB상품의 브랜드 이미지, 품질수준, 지각된 가치가 브랜드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PB사과 상품을 중심으로-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 국내 유전자교정 식물의 사후 안전관리 제도 적용 가능성에 관한 규제 시나리오 분석
- Effect of cytokinin on the regeneration and proliferation of in vitro cultures of the endemic plant Arabis takesimana Nakai
- Selection of null genotype without four proteins (KTI, lectin, P34, and 7S α′ subunit) in black soybeans with green cotyledon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