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공무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이용수 158
- 영문명
- The Mediation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Relationship between the Suitability of Individual-Environ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for Local Public Official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주상현(Sang-Hyeon Joo) 편상훈(Sang-Hoon Pyun)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4권 제6호, 27~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인-환경 적합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지방공무원의 개인-환경(조직・직무・상사・동료) 적합성이 조직몰입과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고안된 연구모형은 지방정부 울산광역시 행정공무원 218명의 응답을 표본으로 검증되었다. 연구 결과, 개인-환경(조직・직무・상사・동료) 적합성은 조직몰입과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몰입 역시 혁신적 업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조직몰입이 매개작용을 한다는 가설이 입증되었다. 즉, 지방공무원의 개인-환경(조직・직무・상사・동료) 적합성은 혁신적 업무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조직몰입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혁신적 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t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relationship between the suitability of individual-environment (organization, job, supervisor, colleague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for local public officials. 218 administrative officials of Ulsan Metropolitan office participated to identify determinants of the suitability of individual-environ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The study found that individual-environment (organization, job, supervisor, colleagues) has positive effe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has positive effect to innovative work behavior. The suitability of individual-environment has directly effected to innovative work, moreover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indirectly effected to innovative work, theref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ved to be a mediator among individual-environment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3. 연구의 모형 및 방법
4. 연구 분석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공무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분만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대곡천 암각화군의 보존·관리와 지역사회의 역할
- 요추부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의 체력 및 직립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예방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 비인격적 감독과 사회적 지원이 반생산적 업무행동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30대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복합 재활운동프로그램 사례연구
- 지역사회 치매관리정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선택 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시 유엔사(UNC)를 논하다
- 개정 경찰법의 중요 내용과 분석
- 한국 방위산업 발전방안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드 배치 과정 비교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