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예방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이용수 5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Policy for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in the Event of a Disaster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유근환(Keun-Hwan Yoo)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4권 제6호, 117~12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에 재난에 취약한 자에 대해 피해를 예방하고 감소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재난취약계층은 재난정보 획득이 어렵고 신체적 제약요인으로 . 재난대피 및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특별한 정책 마련과 관심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상이한 재난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의 작성과 교육 및 훈련, 재난약자에 대한 심리적 및 경제적 지원의 중요성, 재난약자 지원 관련 유관기관과의 협력체계 구축, 재난약자 정보의 데이터 구축 및 공유, 복지대피소의 중요성 등 한국 상황에 맞는 방안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정책적인 방안으로 재난약자에 대한 개념을 우선적으로 정립하는 것이 중요하며, 법령 혹은 조례에서 재난약자에 대한 대상, 범위 등에 대해 규정된 장애인과 노인, 영유아 등과 관련된 업무를 기관별로 정책을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재난약자의 지원체계 또한 각 개별 기관이 계획과 수립 및 교육을 진행하며, 지원이 필요한 인력과 예산 등은 총괄기관에서 담당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upport measures to prevent and reduce damage to those vulnerable to disasters in the event of a large-scale disaster. In general, it is difficult for the disaster vulnerable class to obtain disaster information, and because it is difficult to evacuate and respond to disasters due to physical constraints, special policy preparation and attention are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overseas cases, the creation of manuals that can respond to different disaster situations, education and train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and economic support for the victims of disasters, establishment of a cooperation system with related organizations related to support for the victims of disasters, It was derived that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appropriate to the Korean situation, such as establishing and sharing data and the importance of welfare shelters. With these policy measures, it is important to first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victims of disaster, and establish policies for the disabled, the elderly, and infants, etc., prescribed by laws or ordinances for the target and scope of the victims, systematically. Should be implemente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support system for the victims of disaster will also be operated more efficiently by each individual institution to plan, establish, and conduct education, and that the general institution is in charge of the manpower and budget that need suppor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우리나라의 재난 발생 시, 장애인 지원체계 분석
4.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공무원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적 업무행동의 영향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분만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대곡천 암각화군의 보존·관리와 지역사회의 역할
- 요추부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의 체력 및 직립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재난취약계층에 대한 예방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 비인격적 감독과 사회적 지원이 반생산적 업무행동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 30대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증상 완화를 위한 복합 재활운동프로그램 사례연구
- 지역사회 치매관리정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선택 속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시 유엔사(UNC)를 논하다
- 개정 경찰법의 중요 내용과 분석
- 한국 방위산업 발전방안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드 배치 과정 비교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