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중가요 가사의 품사별 빈도에 따른 특성 고찰
이용수 728
- 영문명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equently Used Words in Korean Popular Songs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한성우(Han, Sungwoo)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26호, 43~7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1920년대 이후 발표된 한국의 대중가요의 가사를 분석하여 품사별로 빈도가 높은 단어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26,000여 곡을 선정하여 정리한 후 형태소 분석기를 활용해 대중가요 가사의 어휘를 품사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중가요 가사의 고유한 특성을 밝히기 위해서 말뭉치와 비교하였다. 명사에서는 ‘사랑’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 ‘이별’과 ‘눈물’ 등도 상대적인 높은 빈도를 보인다. 일반 말뭉치에서 ‘사랑’은 104위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대중가요가 ‘사랑타령’이라는 통념을 방증해 준다. 대명사에서는 ‘나’와 ‘너’가 가장 많이 등장하는데 이를 통해 대중가요는 ‘내가 너에게 들려주는 사랑 노래’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동사에서는 ‘사랑하다’가 가장 많이 등장하는데 형용사에서 높은 빈도로 등장하는 ‘없다’나 ‘슬프다’ 등과 관련지어 보면 대중가요 속의 사랑은 ‘슬픈 사랑’이 주류임을 알 수 있다. 별도로 분석한 종결어미에서는 일반 말뭉치에서 많이 등장하는 ‘-다’보다 ‘-아/어’와 ‘-요’가 많이 등장한다. 이는 대중가요 가사의 구어적 특징을 잘 드러내 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and observe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words that appear frequently in each category of parts of speech. 26 000 songs that are well-known were chosen and categorized, utilizing the morpheme analyzer which were compared with corpus in order to asses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lyrics in Korean popular music. In terms of nouns, it was seen that “Love” appeared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Break-up” and “Tear”. As ‘Love’ is only ranked 104th in the general corpus, the finding supports the idea that most of Korean popular songs are ‘Love songs’. Pronouns, ‘I’ and ‘You’ appeared the most, which proposes the idea that not only most songs are ‘Love songs’ but ‘Love songs from me (‘I’) to you’. Verb, ‘Love’ appeared the most, while ‘Gone’ and ‘Sad’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adjectives. From this, it can be concluded that ‘Love’ in songs is often ‘Sad Love’. Additionally,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다(da)’ ending in general corpus, ‘-아/어(-a/eo)’ and ‘-요(-yo)’ endings are mainly used in lyrics. This is due to the spoken nature of song lyric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명사
3. 대명사
4. 수사
5. 동사
6. 형용사
7. 관형사와 부사
8. 감탄사
9. 종결어미
10. 맺는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서양음악학 제28권 제1호 목차
- ‘남성적’ 소나타로 향한 19세기 여성 작곡가: 파니 멘델스존 헨젤의 경우
- 한국서양음악학회 제95차 추계학술대회 “쇤베르크 탄생 150주년 기념 학술대회: 음악제도 및 음악교육” 보고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