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70년대 포크 음악과 한국의 기독교 대중음악의 형성
이용수 598
- 영문명
- This Folk Music in Emerging Korean CCM in the 1970s
- 발행기관
- 한국대중음악학회
- 저자명
- 양동복(Dongbok Yang)
- 간행물 정보
- 『대중음악』통권 26호, 97~13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1.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1970년대 한국 포크 음악인들이 발표한 기독교적인 내용의 대중음악에 주목하고 이들의 노래와 활동이 한국의 기독교대중음악 산업의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1970년대 한국의 포크 음악인들은 기독교가 제공한 사회문화공간 속에서 활동했던 잠재적 기독교 대중음악의 생산자들이었다. 이들은 미국의 포크 음악을 수용하면서 앨범에 기독교적인 노래를 선보였으며 교회에도 대중적 스타일의 기독교음악을 인식시켰다. 1970년대 후반 청년문화에 제동이 걸리면서 교회 안에서 활동하게 된 포크 음악인들은 기독교 대중음악을 확산시키는데 기여했다. 당시 포크스타일은 교회의 취향과 음악적 여건에 적합했으며 포크 음악인들도 교회에 저항 없이 수용될 수 있는 노래를 불렀다. 기독교 인구가 급격히 성장하자 교회는 부흥시기에 그래왔던 것처럼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을 수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기존의 대중음악 산업은 다수의 유명 포크 음악인이 참여한 기독교 하위문화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기독교 대중음악의 장르화에 참여하였다. 1970년대 한국의 포크 음악은 대중음악사뿐만 아니라 기독교 대중음악의 형성과정의 초기 역사에서도 의미 있는 위치를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ir songs and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the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dustry in South Korea, focusing on the folk music in the 1970. In the 1970s, Korean folk musicians were potential producers of Christian popular music who were active in the social and cultural space provided by Christianity. They embraced American folk music, showed Christian songs on their albums, and raised the awareness of popular style of Christian music among churches. Folk musicians who became active within the church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Christian popular music as the youth culture was restricted in the late 1970s. Folk style suited the tastes and musical conditions of the church, and folk musicians sang songs that could be easily accepted by the church. As the Christian population grew rapidly, the church embraced and actively used a new style of music, as it did during the revival period. The music industry differentiated CCM as the Christian subculture market grew. Folk music in the 1970s can be evaluated as having a significant position not only in the history of popular music but also in the early history of the formation process of contemporary Christian music.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 기독교의 대중적 음악 수용, 음악의 변화와 장르형성
3. 1970년대 포크 음악과 기독교 대중음악의 형성
4. 나오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 생성형 AI인 ‘Text to Music’을 집단탐구모형에 적용한 음악 창작지도 설계 방안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서양음악학 제28권 제1호 목차
- ‘남성적’ 소나타로 향한 19세기 여성 작곡가: 파니 멘델스존 헨젤의 경우
- 한국서양음악학회 제95차 추계학술대회 “쇤베르크 탄생 150주년 기념 학술대회: 음악제도 및 음악교육” 보고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