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택배산업과 물류산업 현장직 종사자의 근로여건 비교분석 연구
이용수 544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Field Workers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and Logistics Industry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장소영(Jang, So-Young) 김용진(Kim, Yong-Jin)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30권 제5호, 105~1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짧은 시간에 대량의 화물을 수집·분류·운송해야 하는 택배산업의 과도한 노동의존적 작업환경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택배터미널 종사자의 근로여건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 정확한 근거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에는 제조·유통기업, 제3 자 물류기업, 택배기업 등 물류센터 특성 구분 없이 물류산업 근로여건을 분석하거나 시설 내 화물취급과 운송의 구분 없이 근로여건을 분석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택배산업과 물류산업에서 종사하는 시설근로자(상하역 작업자 등)와 운송근로자각각에 대한 근로여건을 조사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택배산업 종사자와 물류산업 종사자 근로여건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택배산업 시설 내 종사자와 운송종사자간에도 근로여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택배산업 종사자가 물류산업 종사자보다 더 많은 시간 근무한다. 특히 택배 운송종사자가 가장 많은 시간(63.53시간/주) 근무한다. 시설종사자는 운송종사자에 비해 수입이 낮은 편이다. 13개 항목을 통한 업무 및 근로환경 어려움 정도 조사에서는 택배 운송종사자가 가장 많은 어려움(2.63)을 느끼고 업무만족도(2.89)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택배터미널 시설종사자는 택배 운송종사자 다음으로 업무 및 근로환경에 어려움(2.69)을 느끼고 이직계획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문 초록
Excessive labor-dependent working environment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which requires the collection, classification and transportation of large quantities of cargo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becoming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is a lack of accurate evidence on the level of working conditions for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workers. This is because the working conditions were analyzed without distinc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such as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companies logistics center, third-party logistics companies, and delivery companies), and without distinction between working character such as cargo handling in the facility and transportation.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working conditions for each facility worker (such as loading workers) and transport worker working at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and logistics industry. According to the study,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courier terminal and general logistics center worke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and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working conditions between the facility workers and the transport workers in the deliv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parcel transportation workers worked more hours than general freight transportation workers. Parcel transportation workers worked the most hours, and workers in facilities earned less income than transportation workers. According to the survey on the degree of difficulties in work and working environment through 13 items, transportation workers in the parcel delivery industry felt the most difficulties, and the work satisfaction was the lowest. It was found that facility workers at the parcel delivery terminal had the highest turnover pla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내용 및 분석방법
Ⅳ. 결 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 간 정보공유가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
-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 HMR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택배산업과 물류산업 현장직 종사자의 근로여건 비교분석 연구
- 자영업자의 소득보장 개선방안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olicy of International Outsourcing in Korea
- COVID-19 감염병 확산에 따른 항공여객 운송 네트워크 변화분석
- Research through actual condition analysis related to the partnership aspect of Retail Ready Packaging System
- Analyzing the Path Model of GDP Performance through Logistics Performance and Related Global Index Variables
- 택배서브터미널의 운영품질 진단 방안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