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motion Strategies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조성우(Cho, Sung-Woo) 원승환(Won, Seung-Hwan)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30권 제5호, 63~7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와 경쟁하고 있는 선진항만에서는 자동화 항만을 넘어 디지털 항만, 스마트 항만을 구축하기 위한 준비를 착실히 하고 있다. 스마트 항만을 구축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유럽의 주요 항만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컨테이너 자동 하역시스템 시범사업을진행하고 있어 후발주자라고 할 수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우리나라 상황은 나쁘지 않다. 지금부터 현재 진행하고 있는 실증사업과 디지털화와 스마트화를 잘 연계한다면 향후 더 효율적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컨테이너 터미널 구축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을 정리·분석한 후 추진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추진 전략으로 모두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경제적 타당성 확보, 둘째 사회적 수용성, 셋째 기능적 접근과 프로세스 재정립, 넷째 효율적 자동화 방법론 검토가 네 가지 전략에 해당한다. 현재 진행중인 컨테이너 자동 하역시스템 실증사업단계에서 디지털 항만을 거쳐 스마트 항만으로 매끄럽게 가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첫째 먼저 스마트 항만 구축을 위해 준비하고 있는 항만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 및 모니터링이다. 둘째 자동화 항만 구축 단계에서부터 통신 매체, 에너지, 운송 방식에대한 고민과 경쟁 항만에서 어떤한 방식으로 구축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Advanced ports competing with port in Korea are steadily preparing to build digital port and smart port beyond automated port. Unlike major ports in Europe that are preparing to build a smart port, Korea is a latecomer as it is conducting a pilot project of an automatic container unloading syste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 condition in Korea is not serious. More effective business models can be developed in the future, if digitization and smartization are connected with the test-bed projects currently underway from now on. In this study, we arranges and analyzes the items required for building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the implementation strategy i s specifically presented. Four strategies are proposed for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n this study. Firstly securing economic feasibility, secondly social acceptance, thirdly functional approach and process reengineering, fourthly review of efficient automation methodology. The first factor to consider in order to smoothly go to a smart port through a digital port at the stage of the currently ongoing test-bed project of container automatic unloading system is the continuous analysis and monitoring of the port being prepar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mart port. Second, from the stage of building an automated port, it is necessary to think over communication media, energy, and transportation methods, and to analyze how it is built in competitive ports.
목차
Ⅰ. 서 론
Ⅱ.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 개념
Ⅲ.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성요소와 핵심기술
Ⅳ.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추진 전략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 간 정보공유가 공급사슬통합에 미치는 영향
-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추진 전략에 관한 연구
- HMR 선택속성이 지각된 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택배산업과 물류산업 현장직 종사자의 근로여건 비교분석 연구
- 자영업자의 소득보장 개선방안
- A Study on the Development Policy of International Outsourcing in Korea
- COVID-19 감염병 확산에 따른 항공여객 운송 네트워크 변화분석
- Research through actual condition analysis related to the partnership aspect of Retail Ready Packaging System
- Analyzing the Path Model of GDP Performance through Logistics Performance and Related Global Index Variables
- 택배서브터미널의 운영품질 진단 방안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