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의 농업 소양 함양을 위한 도시 농업 교육의 활성화 방안
이용수 185
- 영문명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Urban Agricultur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Agricultural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우(Kim, Jong-Woo)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3권 제3호, 133~1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학교 교육형 도시 농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기초로 학교 교육형 도시 농업을 위한 정책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 교사의 학교 교육형 도시 농업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과 기존 문헌 분석에 기초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학교 교사의 학교 텃밭에 대한 인식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 텃밭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노지 텃밭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상자 텃밭을 사용하고 있다. 둘째, 최근에는 농업기술센터 등의 지원을 받고 있고 있는 학교도 있다. 셋째,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고 하고 있으며 관리를 위한 인력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넷째, 학생들이 수확을 체험할 수 있는 작물을 선택하고 있다. 다섯째, 학교 급식과 연계하여 수확물을 활용하고 있다.
학교 교육형 도시 농업 교육 활성화 방안은 크게 도시 농업 교육을 위한 영역 분류, 도시 농업 중·장기 연구 계획, 도시 농업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 7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ways to revitalize school-based urban agriculture, and based on this, i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olicy research for school-based urban agricultur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and existing literature analysis were conducted on school-based urban agriculture of school teachers.
The following is the overall perception of each school teacher s school garden. First, teachers recognize that school gardens are lacking and especially box gardens are used to supplement the shortage of old gardens. Second, In recent years, some schools have been supported by the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etc. Third, they have difficulty in managing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manpower for management. Fourth, students choose crops that can experience harvesting; Fifth, they use harvests in connection with school meals.
The plan to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was divided into the classification of areas for urban agriculture education, urban agriculture mid- to long-term research plan, and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urban agricultur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