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맥거핀 효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70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n the None-Motivation of Character through MacGuffin Effect in Animation: Focus on DreamWorks Anima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라개양 (Luo, Kai Yang) 김명삼 (Kim, Myeong Sa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3(통권 16권), 134~14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애니메이션 <쿵푸 팬더>에 나타난 맥거핀 효과를 분석함으로 캐릭터 무동기에 연구했다. 맥거핀 효과의 애니메이션 서사적 합리적 설정은 궁금증을 유발하고 시청자의 욕구를 불러일으킬 것이다. 애니메이션에서 맥거핀 효과는 캐릭터들이 쫓아오거나 피할 수 있는 목표로 삼아 캐릭터들의 욕구를 자극하고 욕망이 동기를 부여한다. 맥거핀 효과는 캐릭터의 무동기 상태에 행동을 촉발시켜 캐릭터에 접근하거나 행동을 회피한다. 맥거핀 효과는 캐릭터의 접근과 회피 행동에 대한 억제와 촉진작용을 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맥거핀 효과를 이용해 캐릭터가 움직여 스토리를 발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형적인 맥거핀 효과를 가진 애니메이션 <쿵푸 팬더>를 중심으로 분석했으며, 연구에서 제기된 맥거핀 효과가 캐릭터에 대한 영향을 체계적으로 검증했다. 앞으로 연구에서는 많은 애니메이션을 통해 맥거핀 효과가 캐릭터 무동기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결과를 연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aper analyzes the MacGuffin effect in the DreamWorks cartoon Kung Fu Panda , and studies the effect of MacGuffin s effect on the character s none-motivation and action. The reasonable setting of MacGuffin effect in the animation narrative will create suspense, satisfying or betraying the audience s expectations by creating a certain expectation or curiosity, thus arousing the audience s desire to watch. In the animation, the MacGuffin effect serves as a target for the character to pursue or avoid, stimulating the character s desire, which generates motivation. The MacGuffin effect plays a motivational inducing character in the unmotivated state, making the character have approaching or avoiding motivation, which determines the positive action or negative action. Finally, the cartoon Kung Fu Panda with typical MacGuffin effect is analyzed, and the mechanism of MacGuffin s effect on the character is systematically verified. In future studies, more animations will be used to study the influence of MacGuffin s effect on character none-motivation and actions, and the results of influence.
목차
1. 서론
2. 이론 배경
3. 맥거핀 효과가 캐릭터에 대한 영향
4.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형태재인 이론을 활용한 퍼스널컬러 메이크업 교육에 관한 연구
- 퍼스널컬러 진단시스템의 네일아트 적용에 관한 연구
- 효율적 정보전달을 위한 영상보안영역 아이콘의 기호적 의미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옥조 제품 차이점에 대한 비교 연구
- 3D 애니메이션 영상 캐릭터의 색채 사용 특징에 관한 연구
- FaceReader를 활용한 소비자의 얼굴 표정에 나타난 감정표현이 구매의사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비대면 IoT 피부진단-치료 AI 서비스 접근방향 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진흥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불규칙 수열을 이용한 패턴양식의 추출
- 고령자를 배려한 기능성 게임 휴리스틱 가이드라인 연구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자아성숙도와 공감능력의 관련성 분석
- 키넥트 기반 운동용 게임에 대한 중장년층의 사용자 경험(UX) 조사
- 아동의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로봇 기반의 콘텐츠
- 일반 선호색에 따른 색조 제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 재해 발생시 임시건물의 대안으로써 임시학교 건축에 대한 연구
- 감성공학을 이용한 중국 실외 공공장소 쓰레기 분리수거통 투입구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장르 혼합의 관점에서 본 영화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의 주인공 의상 분석
- 중국유학생에 대한 모바일 뱅킹 GUI 시각적 요소에 따른 사용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공기정화식물의 시지각 선호도에 따른 심리적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TV 이탈’하는 젊은 층 잡기 위한 일본 민영 방송사의 전략
- 개인 맞춤형 화장품 및 뷰티 디바이스 소비자 인식도/선호도 조사 모델 연구
- 정치포스터의 상징기호와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특성화고등학교의 기초제도 수업방안 연구
- 국내 아이돌 레트로 스타일의 기호학적 분석
- 소비자의 가구 구매의사에 대한 VR 가상현실 기술의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 내 대학 야외 벤치의 환경을 통한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맥거핀 효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동두천시 중앙로 걷고싶은 거리 문화적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지역자산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