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Basic Drawing Education Method of Specialized High School Applying Keller s ARCS Synchronization Theory: Focusing on the Orthographic view and Special perspective view Unit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손혜진 (Son, Hye Jin) 김관배 (Kim, Kwan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3(통권 16권), 45~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기초제도 수업 중 ‘정투상도’와 ‘특수투상도’ 단원에 ARCS 학습 동기이론을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수업과정의 실효성을 검증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P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으로 2019년 5월 4주에 걸쳐 총 8차시 수업의 효과 검증을 위해 ARCS 동기이론을 적용한 연구수업 전 기존수업과 연구수업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5점 척도로 만족도 설문조사하고,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기초제도 수업이 주의집중 향상, 높은 흥미와 전반적으로 높은 평가의 만족도를 받아 적용된 수업의 긍정적인 효과가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proposes by applying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to the chapters orthographic projection and special projection of the basic drawing subject that are the basis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The teaching method applied to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has been verified for first-year design students in the P specialty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 same students take the class without the ARCS motivation theory and the clas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to study the effect of the classe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A survey with a 5-point scale to the students is conducted on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applying the ARCS motivation theory and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by using the t-test. As a result of t-test analysis, it proves the positive effect of classes applying the ARCS learning motivation theory by improving concentration, inducing interest, and positive satisfaction for basic system classes using ARCS motivation theory.
목차
1. 서론
2. 기초제도 교육의 실태
3. Keller의 ARCS 학습 동기이론
4. 기초제도 교육에서 ARCS 동기이론 적용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D 애니메이션 영상 캐릭터의 색채 사용 특징에 관한 연구
- Keller의 ARCS 동기이론을 활용한 특성화고등학교의 기초제도 수업방안 연구
- 키넥트 기반 운동용 게임에 대한 중장년층의 사용자 경험(UX) 조사
- 아동의 자기조절학습을 위한 로봇 기반의 콘텐츠
- 일반 선호색에 따른 색조 제품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 중국유학생에 대한 모바일 뱅킹 GUI 시각적 요소에 따른 사용성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공기정화식물의 시지각 선호도에 따른 심리적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 비대면 IoT 피부진단-치료 AI 서비스 접근방향 연구
- 장르 혼합의 관점에서 본 영화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의 주인공 의상 분석
- FaceReader를 활용한 소비자의 얼굴 표정에 나타난 감정표현이 구매의사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진흥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고령자를 배려한 기능성 게임 휴리스틱 가이드라인 연구
- 국내 아이돌 레트로 스타일의 기호학적 분석
- 형태재인 이론을 활용한 퍼스널컬러 메이크업 교육에 관한 연구
- 효율적 정보전달을 위한 영상보안영역 아이콘의 기호적 의미 연구
-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자아성숙도와 공감능력의 관련성 분석
- 재해 발생시 임시건물의 대안으로써 임시학교 건축에 대한 연구
- 감성공학을 이용한 중국 실외 공공장소 쓰레기 분리수거통 투입구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퍼스널컬러 진단시스템의 네일아트 적용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중국의 옥조 제품 차이점에 대한 비교 연구
- 불규칙 수열을 이용한 패턴양식의 추출
- 개인 맞춤형 화장품 및 뷰티 디바이스 소비자 인식도/선호도 조사 모델 연구
- 소비자의 가구 구매의사에 대한 VR 가상현실 기술의 영향에 관한 연구
- ‘TV 이탈’하는 젊은 층 잡기 위한 일본 민영 방송사의 전략
- 정치포스터의 상징기호와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맥거핀 효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무동기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부산 내 대학 야외 벤치의 환경을 통한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동두천시 중앙로 걷고싶은 거리 문화적 활성화 방안 도출을 위한 지역자산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