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5~6학년군 초등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 분석
이용수 758
- 영문명
- An analysis of writing activities of 5th and 6th grade English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지(Kim, Min-Ji) 김태은(Kim, Tae-Eun)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6권 3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writing activities represented in 5th and 6th grade English textbooks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a) How is the writing achievement standard reflected in the writing activities of textbooks? (b) What is the nature of the level of writing in writing activities? (c) What are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in terms of collaborative approaches to writing? (d) What are the features of writing activities in terms of the stages of a process-based writing approach? (e)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activities when analyzed by the gradual release of a responsibility model?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most of the 5th and 6th grade writing activities are geared for practicing word- or phrase-level language. In addition, there were limited writing activities in which the complete five stages of process writing were incorporated. Lastly, it confirmed a lack of free writing activities and gradual release of responsibility to students in writing.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various perspectives to consider when designing writing activities for practical us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5~6학년군 초등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 분석
- 국제 바칼로레아 초등교육 프레임워크에 기반한 초등영어 융합수업 설계 방안
-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초등영어 교과서의 파닉스 내용과 지도 방법 분석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교사인식 분석
-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초등영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 연구
- 초등영어 교과교육에서 다문화 영어 그림책의 활용 탐색
- 자기주도학습능력 계발을 위한 초등 영어 읽기·쓰기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 인공지능기술 활용 대화형 영어 학습 앱을 적용한 초등영어 말하기 수업 분석
-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through Negotiated Interaction with AI Chatbots
- 초등영어 내용언어통합학습(CLIL)에서 스캐폴딩 전략 활용 어휘지도
- 초등영어 온라인 수업: 도전과 극복, 남은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