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병원에 입원한 만성질환 노인의 우울에 대한 영향요인
이용수 127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Long-term Care Hospital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남지숙(Ji-Sook Nam) 양진향(Jin-Hyang Ya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4 No.6, 3035~304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노인의 수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장기 요양노인의 우울이 중요한 정신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입원한 만성질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간호중재 개발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2011년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다섯 개의 요양병원에 6개월 이상 입원한 만성질환 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우울, 건강지각,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아존중감, 가족지지 등을 조사하였다. SPSS 19.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우울정도는 중증에 속하였고, 우울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자아존중감이었으며, 그 외 건강지각과 가족지지 변수가 포함되어 총 54.4%의 설명력을 보였다. 요양병원에 장기 입원한 만성질환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건강지각과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우울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도록 실무에서 간호사의 지식, 태도 및 간호행위의 변화와 함께 노인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개별적인 간호중재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Purpose: Geriatric depression with chronic disease is very common and leads to significant adverse health outcomes of late-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frail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Methods: The research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using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were 150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 in five long term care hospitals. SPSS statistics 19.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ata. Results: The participants suffered from higher-level depress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by religion. A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depression and other study variable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depression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self esteem. Self esteem, health perception and family support explained 54.4%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a need to promote self esteem, health perception, and family support with these participants. In addition, strategies to reduce depression among elderly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by health professionals, family members and depressed elderly patients themselve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ㆍ외국인 투자자본흐름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Sudden Changes on Volatility Persistence and Asymmetry in Chinese Stock Markets
- 당뇨병 환자의 건강정보 활용능력, 질병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및 자가간호행위에 관한 연구
- 소셜커머스 환경에서 재구매 의도의 선행 요인에 관한 연구: 후회의 역할
- 성인초기 직장인의 D유형 성격, 우울과 사회적 지지
- 부산항 선박급유 이용 선사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 분석
- 기업의 현금자산과 투자의 헷징 필요성
- 남ㆍ녀 대학생의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HPV백신의 지식과 성 전파성질환 감염예방행위의도
- 동남권 균형발전을 위한 인구이동 네트워크 중심성분석
- 자기평가체형에 따른 사회적 체형불안과 신체적 자기개념 차이 분석
- 성인 전신마취 수술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 영향요인
- 국내 은행들의 이익 유연화 행태에 관한 연구
- 사회인 야구 동호회 참가자의 자기관리능력이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충동성과 음주갈망
- 부산지역 전통시장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신뢰 및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폭음의도 영향요인
- 원/달러 환율의 변동성과 사적정보
- Effects of the Parent Coaching Program on Parental Anger, Parenting Stress and Parental Self-Efficacy
- 부분 주변 비율을 고려한 확률적 흥미도 기반 유사성 측도의 연관성 평가 기준 활용 방안
-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여성 노인의 운동 효능감 영향 요인
- Factor Analysis of Price Volatility in the South Korea Broiler Market
- 모형적합 비율 및 순수오차 변동계수, 반응표면 분석에서의 적합결여 검정의 보완 측도
- 요양병원에 입원한 만성질환 노인의 우울에 대한 영향요인
- A Probability Matching Prior for the Powered Ratio of Trinomial Proportions
- 노인의 자기효능감, 일상 스트레스, 건강행위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mportance of Trade Tax
- 대학 축구선수와 일반학생의 손가락 비율(2D:4D) 비교 및 체력요인과의 관계 연구
- Impacts of Implied Volatility and Volatility Skew on KOSPI200 Jump
- 측정오차를 포함한 자료의 모형기반 판별분석
- 호텔 기업의 변혁적, 거래적,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EBS 수능교육방송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Derivation of Low Carbon Green City Planning Indicator and Analysis of its Importanc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2차 다항회귀 모형의 적합결여 존재 시의 반응표면 분석
- APEC 주요국의 경기동조성과 무역구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협력적필터링 예측에서 MAE의 판정 방법 제안
- An Analysis of Automobile Insurance Rating Systems in the Domestic General Insurance Market
- 저시력인의 장애유형별 스크린객체에 대한 웹접근성 선호 연구
- 자기구성 개념과 미디어콘텐츠 이용이 문화적응 형태에 미치는 영향
- 조직의 공정성이 구성원의 지식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사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
- 시계열 범주형 자료를 위한 동적 베이지안 모형 비교
- 항공사 서비스 실패에 대한 고객의 부정적 구전 행동 고찰
- 노인 당뇨병 환자가 인식하는 주관적 건강상태와 영향요인
- Modified Wang’s Methods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Ratio(B) of Total Variance in Two-Factor Nested Variance Components Model
- 도시와 농촌 중학생의 건강위험행위의 영향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