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뉴로피드백 자기-조절 훈련에 따른 아동의 뇌지수와 자기효능감에서의 변화

이용수  19

영문명
Effects of Neurofeedback Self-Regulated Training on Children’s Brain Quotients and Self-Efficacy
발행기관
한국자료분석학회
저자명
최윤식(Yun Sik Choi) 이재식(Jaesik Lee)
간행물 정보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4 No.1, 295~307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자연과학 > 통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뉴로피드백 자기-조절 훈련이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5주에 걸쳐 5회기의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은 집단(훈련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사이에서 훈련 이전(사전검사)과 이후(사후검사)에 관찰되는 자기효능감에서의 차이를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하위영역들(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및 과제난이도 선호)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뉴로피드백 자기-조절 훈련은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및 과제난이도 선호 등을 포함한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 모두를 통제집단에 비해 더 높일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여러 뇌지수들 중 뇌의 기능이나 상태를 반영하는 뇌지수보다는 인지적/심리적 측면을 반영하는 뇌지수들이 변화를 매개하여 자기효능감에서의 향상을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self-regulated training on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control condition where no training was provided or training condition where participants were trained in 5 neurofeedback self-regulated training sessions. As the dependent measures, scores in three sub-domains of self-efficacy (self- 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self-regulated task performance, and subjective ratings for the training (in case of training group)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in general, the neurofeedback self-regulated training appeared to induce enhanced self-efficacy in terms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and preference to task difficulty.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self-efficacy which have metacognitive characteristic appeared to be mediated by the quotients reflecting participants’ cognitive/psychological aspects rather than those reflecting brain function or brain stat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4.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완결의 미학
  • 팬텀 버스터즈 출간 기념!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