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계금융투자목적의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4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Financial Investment Objectives of Korean Household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오현숙(Hyun Sook Oh) 양완연(Wan-Youn Yang)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3 No.3, 1445~145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 가계의 금융투자(저축 포함)는 보편적 목적인 노후자금 마련 외에 주택구입과 자녀교육의 비중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자료(2010 가계금융조사, 한국은행)를 바탕으로 가계금융투자의 주된 목적에 영향을 주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다항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계금융투자의 주된 목적은 노후대책, 주택구입, 자녀교육, 부채상환의 순서로 조사되었고, 영향요인은 가구주의 나이, 주택종류, 주택점유형태, 고용형태, 소득이며, 주택종류와 주택점유형태, 주택종류와 고용형태는 서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대략적으로, 35세 미만의 젊은층, 다가구주택 등의 거주자, 소득수준이 낮은 집단, 아파트에 거주하는 상용근로자 집단은 주택구입과 부채상환에 중점을 두고, 35세~54세의 중년층, 상용근로자, 자기소유의 아파트 거주자 집단은 자녀교육을 중요시하고 있다. 또한, 자영업에 종사하거나 소득이 중간수준인 집단은 부채상환의 목적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보편적 집단인 아파트에 거주하는 상용근로자의 가계금융투자목적이 주택구입과 부채상환에 치중되어 있고, 자기소유의 아파트 거주자 집단은 자녀교육에 비중을 둔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결과이다.
영문 초록
The financial investment of Korean household is highly focused on housing purchase and children’s education as well as retirement fund. In this study, we analyzed demographic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main purpose of household financial investments using multi-category logistic regression model on the basis of the empirical data, ‘2010 Household Financial Survey’ conducted by Bank of Korea. The main purpose of household financial investments is the order of retirement fund, housing purchase, children’s education, and debt repayment. Influential factors are age, housing type, housing occupancy type, employment type, and income. In addition, there are interactions between housing types and housing occupancy, and between housing type and employment type.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운동종목에 따른 사상체질별 참여동기와 운동지속의 차이 연구
- 경제적 불확실성이 출산 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 외국인 통안증권 투자의 결정요인 분석
- 비감사보수의 미래기대와 감사품질의 관련성
- Optimal Government Debt Ratio that Maximizes Economic Growth
- 지역별 비교를 통한 사이버안전지수 고찰
- Modified Graybill-Wang’s Method Confidence Intervals for the Ratio(A) of Total Variance in Two-Factor Nested Variance Components Model
- 블럭이 존재하는 3 x 3 요인모형의 검정력 분석
- 암환자군과 대조군의 생활습관 비교연구
- 마늘의 항-고지혈증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렌터카 자료를 이용한 재구매 예측모형
- 기술평가자료를 이용한 군집화기반 성과예측모형 개발
- 핫덱대체의 대체군 형성 변수 선택
- 디지털 시대에서 바라본 충동구매
- 컨벤션개최지에 따른 참가동기와 선택속성의 차이 분석
- Contribution of Higher Education to Labor Productivity: Analysis using Company-based Panel Data
- Nonparametric Survival Analysis in Time-Varying Coefficient Models
-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인큐베이터 고농도 가습 환경 프로토콜 효과비교
- 계란시장 점유율에 대한 살균 효과 예측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roduct Characteristics, Supply Contract Flexibility and Buyer’s Logistics Performance: Focused on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 환율이 지역의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
- 정준상관분석과 편상관계수를 이용한 대학졸업자의 미취업 분석
-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생활만족도
- 신상품 추천을 위한 사회연결망의 구조적 공백 활용 방안
- 군복무 경험이 취업과 임금에 미치는 영향
- 주식분할에 따른 시장반응에 대한 분석
- 이자율모형과 몬테칼로시뮬레이션을 이용한 CD금리 분포 추정
- 지방공기업 경영평가CS모형(PSI)의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 관한 연구
-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University Students
- 지역미디어의 웹보메트릭스 분석
- A Cross-Natio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and Work Values of Hofstede and GLOBE
- Meta Analysis on Effects of Bibliotherapy
- 마케팅을 위한 고객 세분화
- 정서 일치성이 목격자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
- 허약노인을 위한 세라밴드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유사성 측도에 대한 연관성 규칙 평가 기준으로의 적용 방안
- 외적 변수를 이용한 의미 없는 연관성 규칙 발견
- 전문계와 인문계 여자고등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스트레스 생활사건 요인분석
- 가계금융투자목적의 결정요인 분석
- Reliability Estimation of a 2-Unit Warm-Standby System with Exponential Lifetime Distribution
- 이중지수점프모형을 이용한 지급불능확률의 추정
- 소득수준별 외식비 엥겔곡선 추정에 관한 연구
- 실거래가격을 활용한 토지과표의 수직적 형평성 분석
- 정상 노인여성과 성인여성의 정량적 뇌파 비교분석
- 산전 계획된 치과진료가 임산부 구강보건의 인지도와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