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휴먼 과학 기술의 현재와 SF의 상상력
이용수 459
- 영문명
- Post-huma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ci-Fi Imagina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신하경(Shin, Ha-Kyoung)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34輯, 213~24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8.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현재 일본 하드 SF 장르를 대표하는 작가인 토비 히로타카(飛浩隆)의 <폐원의 천사(廃園の天使)> 시리즈를 통해, 현재 과학기술의 발달이 야기하는 제반 ‘포스트휴먼’의 양상과 그를 주요 모티프로 하는 SF적 상상력의 관계를 고찰한다.
토비가 <폐원의 천사> 시리즈에서 그리는 ‘수치해안’이라는 가상 어트랙션은 인간이 데이터 정보로 변하여 네트워크와 접속한다는 측면에서 일견 사이버펑크적인 상상력의 계보에 속하는 것으로 간단히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텍스트가 묘사하는 ‘수치해안’이라는 ‘관능소’ 공간, ‘시상 카드’나 ‘정보적 유사체’라는 인간-두뇌 인터페이스의 설정 등은 신경과학, 인지과학, 인공지능, 가상현실 등 현재 활발하게 연구되는 과학기술에 철저히 근거하고 있으며, 그 방향에 기반하여 미래 사회 및 인간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폐원의 천사>의 세계는 단순한 백일몽이 아니며, 하드 SF로서의 설득력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방향은 현실 인간들의 ‘욕망’에 추동되고 있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변화이다.
또한 이 텍스트가 <폐원의 천사>로 명명되고 있는 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이와 같은 과학기술의 방향은 반드시 유토피아적이지 않다. 그러한 과학기술들은 인간(이라는 범주) 및 인간 사회에 본질적인 변화를 야기하면서, 과학기술의 인간 통제나 비인간의 권리와 같은 윤리의 문제를 제기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foc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posthuman” based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cience fiction imagination, by examining TOBI Hirotaka’s The Angel of Abandoned Garden series, which includes The Thousand Year Beach(2002) and Raggid Girl(2010).
In this series, TOBI sets up a virtual attraction Theme park called “Numerical Beach”, and Humans turn into data information and access into it. In this respect, the series can be thought of as belonging to the lineage of cyberpunk imagination at first glance. However, this SF s settings, which include sensory space called “Numerical Beach” and BMI(Brain Machine Interface) such as “Thalamic Card” and “Informational Similar Appearance”, are based strictly on currently actively researched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neuroscience, cognitive scienc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Thoroughly on that direction, this text is to imagine human beings and the future society. In this sense, the world of The Angel of Abandoned Garden series is not a fictional daydream, but shows the persuasive power as a hard SF. And that direction is fundamental change which is driven by the “desire” of real human beings.
Also, as you can see from the fact that this text is being named The Angel of Abandoned Garden, this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not necessarily utopian. Such science and technology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in human (category) and human society, while raising issues of ethics such as human control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non-human rights.
목차
Ⅰ. 서론
Ⅱ. 인간과 기계의 연결
Ⅲ. 사고하는 AI와 인간의 신성(神性)
Ⅳ. 과학기술의 대중화와 포스트휴먼을 가교하는 VR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