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산성분모형에서 베이지안 모형 선택법의 효율에 대한 비교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Simulation Study on Bayesian Model Selection Methods for Variance Components Model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이용희(Yonghee Le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7 No.5, 2383~239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분산성분모형은 선형혼합모형의 단순한 형태로 다양한 임의 요인들이 반응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식의 형태로 나타내어 매우 유용하고 널리 사용되는 통계적 모형이다. 분산성분모형은 실험의 설계나 관측 자료의 구조에 따라 크게 교차배치와 지분배치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은 이원 지분배치 분산성분모형에서 베이지안 모형 선택법들 중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보기준에 근거한 BIC와 최근에 제안된 spike-and-slab 사전분포를 이용한 변수선택법의 효율을 비교한다. 실제 자료를 통한 예제를 이용하여 두 선택방법의 차이를 알아보고 간단한 모의실험을 통하여 모형 선택 방법의 효율을 비교한다. 선형혼합모형을 이용한 예제에서는 spike-and-slab 방법이 BIC보다 상대적으로 큰 모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의실험의 결과로부터 BIC와 spike-and-slab 방법은 분산성분들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BIC는 이원 지분배치 모형에서 내포된 분산성분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면 내포하는 분산성분을 포함하는 참모형을 포함하지 않는 작은 모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pike-and-slab 방법은 BIC와 다르게 참모형을 선택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spike-and-slab 방법은 BIC에 비하여 모수의 변화에 따라 선택하는 모형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Variance components models are widely used to incorporate various random factors in the form of linear models. In general, there are two main designs for classification of factors under variance components models: nested classification and crossed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 two-way variance components models with nested classification and investigate effect of classification on performance of two Bayesian model selection methods, BIC and the method using spike-and-slab prior. An example with real data and the small simulation study shows difference in performance of model selection methods between two methods. The example using data from a simple linear mixed model shows that selection method with spike-and-slab prior prefers more complex models to the models chosen by BIC. The simulation study under two-way nested classification shows BIC prefers smaller model which dose not include the true term when variance component for nested factor become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nesting factor. The selection method with spike-and-slab prior shows stronger tendency of selecting the true model than BIC. Also spike-and-slab method indicates shrinkage property in model selection.
목차
1. 서론
2. 이원배치 분산성분모형과 베이지안 모형 선택법
3. 예제와 모의실험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a Risk Management Strategy in the U.S. Restaurant Industry
- Electricity Demand and Lock-in Effect
- The Impacts of Social Factors on Perceived Usefulness Constructs in Social Networking Service
- A Comparison Study in Median Tests
- The Study on Precautionary Motivation to Bank Risk Increment based on the Capital Buffer Theory: Evidence from Banks in OECD Countries
- Macroeconomic Determinants of Housing Price in Korea
- Employees’ Engagement in Corporate Sport Initiativ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s: The Serial Mediating Roles of Social Capital and Dynamic Capability
- 과수 컨설팅 참여농가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상체질별 생활체육참가자의 운동지능과 제약요인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 아파트 실거래가격과 평가가격의 상호관계 연구
- 지역사회 중년여성의 배뇨건강행위 영향요인
-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전형요소 및 신입생 특성 분석
- 간호업무성과의 예측인자로서의 임상적 의사결정능력과 자기효능감
-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요양등급판정모형 개선 연구
- 보건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사효능감, 교직관, 학생과의 관계
- 미기상해석모듈의 객체기반-진단평가를 위한 객체식별알고리즘
-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중 FTA 체결과 한국 주식시장의 산업별 주가반응
- 성장곡선분석을 이용한 연간전력판매량의 업종별 패턴 분석
- 온렌딩 대출의 경기순응성이 중소기업의 현금보유 행태에 미치는 영향
-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소비지출 추세비교 분석
-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외감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영향 요인
- 분산성분모형에서 베이지안 모형 선택법의 효율에 대한 비교연구
- 외국인직접투자가 지역 내 외국인수에 미치는 영향분석
- 중년남성의 우울, 외로움, 사회적 지지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 혈중 수은농도 허용기준치 초과와 관련된 요인
-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정보활용능력의 매개효과
- 고차원 선형모형에서 벌점화우도 방법을 이용한 변수 선택방법 연구
- 결혼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및 식생활 관련 요인에따른 식생활 문화적응 유형의 차이
- 간호대학생의 역할극 기반 실습교육 적용 효과
- 미국 기업의 오픈데이터 활용사례와 비즈니스 네트워크 분석
- 국제회계기준 도입 전후의 무형자산정보의 유용성
- 영양집중지원팀 활동의 효과 분석
- 초혼 재혼 이혼을 고려한 혼인모형 개발 연구
- 연관성 규칙 생성을 위한 상대적 대칭 가중 순수 신뢰도의 제안
- Distributions of Test Statistics for Outliers in Gamma Samples
- 경영효율성과 기업가치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생명보험 민원 추세분석과 감소 방안
- 간호학생의 창의성, 책임지향성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간의 관계
- 앙상블 기법을 이용한 일반화가법모형 연구
-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한 패널자료의 대표성평가
- 거주지별 고등학생의 성경험 실태 및 영향요인
- The Implicit Price of PM2.5 by Using Hedonic Model : The Case of Incheon and Gyunggido
- 내면아이상담을 활용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관계만족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