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졸 정규직의 투잡 특성과 투잡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45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for the Examination of Variables Related to Workers’ Dual Job Statu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문광수(Kwangsu Moon) 이요행(Yohaeng Lee) 오세진(Shezeen Oah) 이재희(Jaehee Le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1 No.2, 1027~10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졸 정규직 중 직업을 두 개 이상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투잡의 특성과 투잡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들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 결과 대졸자 정규직의 3.03%가 투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본업은 경영/사무 관리직이 29.7%, 연구 관련직 18.5%, 문화/예술 관련직 1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투잡 이유는 경제적 이유, 자기개발 순이었다. 부업의 근로시간은 주당 16시간 이하가 대부분이었고, 수입은 60만원 이하가 66.7%였으며, 직종은 과외와 레슨, 강의 등 교육 분야 그리고 서비스 분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주 직장의 월평균 수입, 주당 근로시간과 심리적 변인인 직무만족, 개인-직무 부합이 투잡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요컨대, 투잡을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본업의 월평균 수입이 낮았고 주당 근로 시간도 적었으며, 본업에서의 직무만족과 개인직무 부합이 더 낮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that may be related to the workers’ dual job status. 1038 worker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monthly income, working time in the primary job,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the level of fringe benefit, job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A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ual job status. Of those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is, no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ual job statu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monthly income, working time in the primary job, job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dual job statu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 정신분열병 환자 재활을 위한 웹기반 약물 및 증상 자가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 RFID 기반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구현
- KLPGA에서 경기기술과 POWER가 상금에 미치는 영향
- 크롬의 데이터를 이용한 국내 희유금속의 수요예측모형에 관한 비교 연구
- 기대수익률-변동성의 조건부 관계에 대한 새로운 검증
- 반복이 존재하는 4×4 라틴방격모형의 검정력 연구
- 다시점 부도확률을 갖는 신용평가모형의 적합성 검증방법 제안
- 국제주식시장에서의 추세현상에 관한 실증연구
- 스포츠 문화관광 축제의 지각된 가치가 방문객의 만족도 및 선택속성에 미치는 영향
- 분광자료 분석에서 회귀방법의 예측력에 대한 몬테칼로 연구
- 로지스틱회귀분석과 최적화 척도법을 이용한 대형 및 저가 항공사 선택속성 분석
- 다변량 자료에 대한 비모수 검정절차
- 제로팽창된 이변량 음이항 분포에서 제로팽창에 대한 가설검정
- 남자볼링선수의 5스텝 투구동작에 관한 운동학적 분석
- 대졸 정규직의 투잡 특성과 투잡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 Hedonic 가격모형을 이용한 일반아파트와 공공아파트의 주거특성별 잠재임대료추정에 관한 연구
-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휴대전화 단말기 제조사 시장구조 추정
- 中醫師 대상 형상진단기기 연구개발 수요조사
- 다변량 혼합반응 자료를 위한 다변량 의사결정나무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마이크로시뮬레이션 적용에 관한 연구
- 선택상황이 선택 대안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Development of Sasang Constitutional Discriminant Fun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Widths and Vertical Gaps in the Body Shape
- Social Contagion of Opportunism and Leadership Intervention
- Control Variate-based Estimation of Gradient and Its Application in Stochastic Optimization
- A Comparative Study of Generalized Maximum Entropy Estimator for the Two-way Error Component Regression Model
- Cook-type Distance in Multivariate Constrained Regression
- The Research about the Demand Elasticity of Tobacco Price by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 Soil Environment’s Impact on Tree Vitality within Each Space in Urban Park and Open Space
- The Influence of Target Specific Collectiv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tra-role Behavior: In Case of Emerging Markets
- Causality of Spot and Futures Markets and Its Forecasting Ability
- 부산지역 결합개발방식 운용에 관한 연구
- 해양스포츠 전진기지 이용객의 시설이용만족도가 재방문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ㆍ미 양국민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템플스테이 참가의사결정에 관한 비교연구
-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조사구별 비방문 조사 선택 가구수 추정 방안
- 고유한 항목 특성 파악을 위한 순수 연관성 규칙의 제안
-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 성폭력 가해자의 글에 나타난 언어ㆍ심리적 특성 분석
- 신용등급 변화감지에 관한 방법 개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 통계자료를 활용한 성별 학력특성 비교
- 화면내 부호화를 위한 예측특징 분석
- 신설 지하철 노선의 수송수요 예측
- 지역통계의 현황 분석
- 부산지역 신성장 동력산업으로서 의료관광산업 전략 업종 도출
- 서울시 환경요인과 월별 뇌혈관 질환 사망자의 연관성
- 분산이 미지인 두 정규모집단의 평균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