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경험한 언어폭력과 진로정체감
이용수 71
- 영문명
- Verbal Abuse and Lowered Career Identity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Tra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임영순(Young Soon Im) 권혜진(Hye Jin Kwon) 노기옥(Gie Ok Noh) 배가령(Ka Ryeong Ba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8 No.4, 2315~232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언어폭력 경험, 진로정체감,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확인하고 언어폭력 경험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3개 간호대학에서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이 진행되었으며, 4학년에 재학 중인 1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0으로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지각된 언어폭력 경험은 언어폭력 경험 수준을 높이고 진로정체감과 자아존중감을 낮추는 영향을 미쳤으며, 언어폭력 유형에서 ‘반말을 한다 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언어폭력 경험은 진로정체감, 자아존중감과 음의 상관관계, 자아존중감과 진로정체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정체감에 대한 언어폭력 경험과 자아존중감의 설명력은 24%였으며, 자아존중감은 언어폭력 경험과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언어폭력 예방에 대한 중재와 함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전략이 함께 구축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nursing students were exposed to verbal abuse during clinical practice and how this experience was correlated with the levels of their career identity and self-esteem and to identify whether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xperience of past verbal abuse and career identity. Data from 155 fourth-year undergraduate students of nursing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d the Sobel test using IBM SPSS Statistics. The most common verbal abuse experience by students was ‘talking down’. Such an exper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dentity and self-esteem whi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self-esteem accounted for 24% of the variation in career identity and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xperience of verbal abuse and career identity. Our results suggest that strategies that could prevent verbal abuse and enhance students’ self-esteem during clinical practice are necessary to encourage students to develop career identity.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지배구조와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성과
-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일치조건과 불일치조건에서의 반응시간 차이분석
- 부동산의 인플레이션 헤지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의 사례
- 내부 프로세스 역량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부대관리업무 민간용역 전환 비용대 편익분석
- 치매노인 가족원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의 향상이 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미 상품선물거래 정보가 OECD 국가들의 통화가치에 미치는 영향
- 농촌노인의 지각된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단거리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의 복합 트레이닝 구성이 500m, 1000m 경기기록과 100m, 200m 출발구간기록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효과
- 임원의 보수 결정 과정에 대한 실증 분석: 미국과 한국의 비교
- 혈액투석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 정보에 관한 연구
- 간호사 극복력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 장애노인 자살생각 영향요인
-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 한국 청장년층의 순환기계 질환 유병율과 관련요인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중 경험한 언어폭력과 진로정체감
- 바둑 단체전 연승제에서 선수별 우승 기여율에 대한 고찰
- IPA를 이용한 감천문화마을의 관광지 선택속성 평가
- 잠재 디리슈레 분류 모형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의 토픽 분류
- 분위회귀모형을 이용한 임금결정요인 분석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Self-study Hours
- The Influence of Threat Situation and Expectation on the Weapon Focus Effect in a Virtual Mock-Crime Video
- Attitudes toward Treatment and Decisional Conflict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in Korea
-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Funding Policies Considering Speed of Growth and Leverage
- Robust Estimation of a Genomic Association against the Imbalance among the Multi-class Phenotypes
- Integrating Multiple Perceived Usefulness Constructs into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Focusing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Use at ‘A’ University in Korea
- 소비자의 가치지향성이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선호도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불완전 분할표에서 무응답 메카니즘을 고려한 민감도 분석
- 범 중국 주식시장에서의 가격변동성의 비대칭적 반응에 관한 연구
- A Nonparametric Test under the Proportional Hazards Model
- 여성노인을 위한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교육 오픈 데이터를 활용한 미국 기업의 웹 사이트 분석
- 엔트로피 기반 연관성 평가 기준의 제안
- DataGuide와 TS2000의 재무자료의 질에 대한 연구
- The Lending Behavior Regarding On-Lending-Typed SME Policy Loan: Evidence from Korean Banks
- 임원배상책임보험과 부채의 가치
- 충북지역 수출산업과 노동시장의 장단기적 관계 분석
- Investigating the Determinants of Student Satisfaction in Public Administration Major Courses
- 한국어 시각단어 재인시 표기와 음운의 영향에 대한 사건관련 뇌파 증거
- 간호대학생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벡터자기회귀 모형 추정을 위한 베이지안 축소 방법론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