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턱모형과 전이함수모형을 이용한 서울지역의 지표오존 예측
이용수 6
- 영문명
- Prediction of Ground-level Ozone Concentration in Seoul Area using Threshold Models and Transfer Function Models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김병수(Byungsoo Kim) 손건태(Keon Tae Sohn) 이정형(Jeong Hyeong Lee)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 No.1, 45~5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3.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울지역 지표오존 농도에 대한 통계적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저농도보다 고농도 예측에 초점을 맞추어 문턱모형인 TOL모형과 ST모형을 기본모형으로 하여 문턱치를 구하였다. 그리고 다중공선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성분분석으로 변수를 직교화시켰으며, 단계별 회귀모형으로 변수를 선택하였다. 선택된 변수를 입력변수로 사용하여 전이함수모형에 적합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두 모형(TOL-TFM, ST-TFM)과 기존에 개발된 오존예측모형을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제안한 두 가지 모형이 기존의 예측모형에 비하여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wo statistical models, called TOL-TFM and ST-TFM, for predicting the daily maximum ground-level ozone concentration in Seoul area are proposed based on the concept that threshold models are useful to predict the high density. The procedure of each model consists of 4 steps; (1) Estimation of threshold parameters and scale parameters, (2)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or the elimination of multicollinearity, (3) Stepwise regression for variable selection, (4) Transfer function modeling. As results on the model validation, ST-TFM is the best prediction model and the ordering is ST-TFM > TOL-TFM > CCA-TFM > TFM > multiple regression model.
목차
1. 서론
2. 자료
3. 예측모형 개발
4. 예측모형검증 및 예측력 비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Change-Point Models in Logistic Regression
- 한반도 여름철 일별 강우량에 대한 장기변동과 특이사건의 통계 분석
- 위험률의 확률적 순서
- 시간별 기온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도시화 효과의 특성 연구
- Sensitivity Analysis in Auto- and Cross- Variogram Estimation
- 문턱모형과 전이함수모형을 이용한 서울지역의 지표오존 예측
- Noninformative Priors for Estimating P(X < Y) in Pareto Distributions
- 위험함수가 2차형인 소프트웨어 신뢰도 성장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추론과 모형선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Learning Factor Selection and Test Resource Effect
- Simulation Efficiency of Method of Antithetic Control Variates
- 대학입시 평가를 위한 통계적 분석방법
- 강수량의 특이치 발생과 관련된 저주파 변동의 특성 분석
- 다중퍼셉트론을 이용한 기초자치단체의 군집화
- 멀티미디어 통신을 위한 통계적 다중화기의 성능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