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순서범주형 변수의 연관성 측정을 위한 동적 그래픽 시스템
이용수 2
- 영문명
- Dynamic Graphics System for Measuring Ordinal Categorical Variables Association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양종현(Jong Hyun Yang) 이웅기(Woong Ki Lee) 조병엽(Byung-Yup Cho)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1 No.1, 167~17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9.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행 변수 X 와 열 변수 Y 가 순서범주형 변수일 때 연관성의 정도를 측정하는 연관성 측도로 교차적 비 α 또는 χ² 통계량에 근거한 측도를 이용할 경우, 이 측도들은 행 또는 열들의 순서를 바꾸어도 이들의 값은 불변이므로 자료의 순서적인 성질을 탐색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분할표 상에서 순서를 갖는 두 범주형 변수 사이에 존재하는 연관성을 동적 그래픽스를 이용하여, 자료의 이동 및 제거 또는 범주 수의 변화에 따른 연관성 측도 값들의 변화 과정을 컴퓨터 화면에 그래픽스와 수치로 나타내어 측도값들을 동시에 비교하고 자료의 변화에 가장 안정적인 연관성 측도를 찾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영문 초록
The measures of association are based on cross product or χ² statistics without considering the ordinal category. However, these measures do not describe the association of variables well when the categorical variables are ordinal. The ordinal measures of association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s of concordant and discordant pairs. In this paper, we have constructed the system of displaying and comparing the values of measures of association considered the ordinal category when observed data are moved or deleted.
목차
1. 서론
2. 순서범주형 변수의 연관성 측도
3. 연관성 측도의 동적인 표현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nalysis of Composit Index Using the Time Series Model
- 멱변환 측도의 불변화 조정
- 논문에 대한 통계분석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 이산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한방 진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순서범주형 변수의 연관성 측정을 위한 동적 그래픽 시스템
- 다중판별분석에서 베이즈 판별변수 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 Parametric Estimations for the Gini Index of a Uniform Distribution with an Unidentified Outlier
- 문자인식의 기본 원리와 여러 가지 인식방법의 성능 비교
- 2단계 집락추출법에 의한 양적속성의 무관질문모형
-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인체계측자료에서의 측정곤란 부위의 추정
- 이간격 시계열 분석에 관한 연구
- 다중 반응치의 로버스트 동시 최적화
- 2인자 지분 분산성분 모형에서 신뢰구간의 범위
- 한방 부인과 자료에서의 수량화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BEST
- 의사결정나무 분석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탐색
- 대학 재학생들의 중도탈락 패턴 분석 및 이탈 예측: H 대학교를 중심으로
- 가정 내 아동학대 행위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중심으로
자연과학 > 통계학분야 NEW
- 생애주기별 경제문제와 결혼생활 평가가 결혼 만족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시간 흐름에 따른 정서 편향의 변화: 반응시간과 표류 확산 모델을 활용한 분석
- PLAS 기반 커뮤니티 텍스트 분석: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언어 및 심리 특성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