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난타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1,191
- 영문명
- Development of Nanta Program for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who abuse school violence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현정(Hyun-J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6권 제2호, 23~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난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교폭력 예방 및 치유를 위하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구성하였으며, 표현적 음악치료 기법인 즉흥연주, 재창조연주, 작곡을 기반으로 난타 프로그램을 접목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사회정서학습의 목표인 자아인식, 자기관리, 사회적 인식, 관계기술, 책임있는 의사결정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정서학습 기반 난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하여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을 도모하여 학교폭력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며 향후 후속 연구에 모범적인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의의로는 첫째, 기존 프로그램에 비해 가해청소년들이 비교적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활동이어서 실질적인 학교폭력 감소 및 예방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 인성 학습 중심 음악교육프로그램에서 탈피하여 사회정서학습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폭력 감소 효과를 직접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다양한 음악기법을 활용한 체험 중심의 기존 프로그램과는 달리 난타 기법을 중점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난타의 치료적 특징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 후 계속적인 수정 및 보완 과정을 통해 질적 수준을 강화된 완성도 높은 프로그램이 현장에 보급된다면 학교폭력 감소 및 예방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and reduce school violence by developing a Nanta program for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adolescents who abuse school violence. The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and the Nanta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xpressive music therapy techniques such as improvisation, re-creation, and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e program was to set the goal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social awareness, relationship skills,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ill b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ocial-emotional among adolescents who abuse school violence through program development, reduce and prevent school violence, and provide a model for future stud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SEL) model-based Nanta programs, this study is expected to reduce and prevent school violence by promoting the social sentiment development of teenagers who commit school violence and to present exemplary models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As f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first of all, it is relatively easy for juvenile offenders to approach compared to existing programs, so education for the reduction and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can be provided. Seco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program based on SEL model, breaking away from existing personality-learning-oriented music education programs, which can directly lead to the effect of reducing violence among teenagers who commit school violence. Third, unlike existing experience-oriented programs that utilize various musical techniques, this study focuses on Nanta techniques and is meaningful in that they can fully utilize Nanta s therapeutic characteristics. I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site, and a program with a high degree of maturity, which has enhanced the quality level through continuous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is distributed to the site, it will help to reduce and prevent school violenc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사회정서학습 기반 난타 프로그램 개발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재난과 범죄현상 분석
- 가정내 학대피해경험이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경찰조직의 연줄작용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심리적 경로에서 성과평가수용성의 매개효과
- 경찰 위기관리커뮤니케이션의 대국민 신뢰향상 방안 모색
-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으로 본 영화<4등> 속 스포츠 지도자 폭력
- 부모의 소년원 방문과 비행 청소년의 시설적응
-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기 다중피해에 미치는 효과 분석
- 암수범죄 해결 및 수사력 보충을 위한 공인 민간조사관 도입방안
- 학교폭력 가해청소년의 사회정서발달을 위한 난타 프로그램 개발
- 캐나다의 여성 범죄자 교정처우 동향과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