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통일교육 관련 연구 동향
이용수 411
- 영문명
- Recent Trends in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란(Lee, Hyera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257~2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일교육 관련 연구의 최근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제공하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국내 학술논문 177편을 대상으로 연구시기, 연구목적,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학교 내・학교 외 교육에 따른 준거를 기준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최근 10년 간 실시된 통일교육 연구는 2013년을 제외하고는 비슷한 수준으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탐색적 연구의 목적으로 이뤄진 연구가 압도적이었으며 연구방법 또한 문헌연구가 현저히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 대상은 교과서 등 문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통일교육 연구의 주제별 분포 분석 결과 통일교육의 방법과 방향을 제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비교연구나 현황을 분석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수행될 연구에서는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설명적 연구와 현상을 상세히 분석할 수 있는 기술적 연구가 조금 더 이뤄져야겠고 문헌연구와의 균형을 위해 질적연구와 양적연구가 더 적극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통일교육 방법이나 방향을 제시하는 주제를 넘어서 다양한 주제를 시도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cent trends in unification education research. This study was analyzed based on year, purpose, method, subject, subject, education at school and education outside schoo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conducted in the last 10 years showed a tendency to continue in a similar amount every year except 2013.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re also the most exploratory, and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by research method, there were a lot of literature studies. In addition,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literature such as textbooks. Most research topics suggested methods and directions, and comparative studies or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status were relatively insufficient. In future research, more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and predict the future and to analyze the phenomenon in detail. In addition, mor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published to balance literature research, and need to research on various topic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통일교육 연구 동향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Web코퍼스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영어 경동사 연어 능력과 다른 언어능력의 상관성 분석
- 교직수업에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사례를 통한 핵심역량 효과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어휘 학습용 앱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 집단상담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도출
- 디자인씽킹에 기반한「교과 논리 및 논술」수업 사례연구
-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수역량 요인 요구분석
- 국내 통일교육 관련 연구 동향
-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 및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 직업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이 중학생의 자기이해 수준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이버 대학 현황 및 만족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또래관계 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학업적 및 사회적 적응 및 사회적 성취목표와 관계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공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 IPA 기법을 활용한 NCS 기반 절삭가공분야의 실무과목에 대한 교사인식
- 영유아 수학통합교육 논문동향 분석
- VR 및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경험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의 거절 화행에 나타난 화용적 실패 연구
- 성인의 국어 문법 능력 실태 조사 결과 분석
- 대학생의 국가근로장학생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X하다’에 대한 단계별 고찰
- 초등교사의 방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폴라니(M. Polanyi)의 지식의 통합성에 기초한 놀이 중심교육 고찰
- QR코드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헤어미용 퍼머넌트 수업 효과 연구
- 인도네시아 한국어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구성주의 진로 집단상담프로그램 참가 경험
- 메이커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중등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과교실제 운영이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성장목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기여목표의 조절 효과와 인내의 매개 효과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 표현 교수-학습 방안 연구
- How to Improve Teacher’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Fundamental Motor Skills(FMS): The Application of a Content Knowledge Packet
- ‘글쓰기와 말하기’ 교재 개편에 따른 교수-학습 내용과 수업의 방향성
-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와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관계 연구
- 의과대학 신입생의 대학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행동 특성
- 예비유아교사의 이고그램과 행복감,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영향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지도자의 지도전략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
- 경험 대화 속 서사-주체/타자의 목소리 중첩 및 다중 서사 분석
- 초등학교 5학년의 정보 전달 말하기와 쓰기 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 한국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행복감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적용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유아 신체활동 연구동향 분석
- 중학교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
- 다이어그램의 개념, Bacon의 다이어그램, 그리고 Bacon의 회화적 준칙이 예술교육과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 디지털 시대 청소년 학습자의 미디어 서사 문식성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초·중등교사, 특수교사, 전문상담(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차이 연구
-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감이 학습태도를 매개로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교 교사의 비전타당도, 비전지원 조직,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조직동일시가 비전공유도에 미치는 영향
-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욕구, 눈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원 박사과정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