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Web코퍼스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영어 경동사 연어 능력과 다른 언어능력의 상관성 분석
이용수 103
- 영문명
- A Correlation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Light Verb Collocation Proficiency and Other Language Ability Using iWeb Corpu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희(Kim You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3호, 977~9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실적인 경동사 연어지도에 대한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상관성 연구를 재구성하고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경동사 연어 지식의 상관성, 학생들의 어휘능력과 경동사 연어지식의 상관성, 학생들이 많이 알고 있는 경동사 연어 순서와 미국영어에 기반한 초대형 140억 어절규모의 iWeb 코퍼스에 나타난 경동사 연어 빈도순서 간에 순서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대학 입학 성적으로 나눈 3개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의 연구 가설은 첫째, 대학입학 영어성적으로 따져서 상/중/하 3개 대학에서 학생을 선정하여 표본의 분포를 넓히고 이들의 경동사 연어 지식 사이에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영어능력의 범위를 학생들의 어휘능력으로 좁혀서 학생들의 영어 어휘사이즈와 경동사 연어 지식 간에 상관성을 살펴보면 긍정적인 상관성이 나타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경동사 연어를 순서대로 배열하고 미국영어에 기반한 140억 어절 iWeb기반 코퍼스에서 조사한 경동사 연어 빈도순을 비교하면 두 순서간에 긍정적인 순서 상관성이 있을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인 영어능력의 차이에 따라서 경동사 집단의 분포를 넓혀서 살펴보면 영어능력의 차이가 집단 간 영어 경동사 연어 지식의 차이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설의 결과를 위해 집단별로 해당집단 내에서 어휘사이즈와 경동사 연어구문의 점수간 상관성을 살펴보면 어휘 사이즈가 크면 클수록 경동사 구문에 대한 지식도 높아지고 상호간의 상관성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가설의 검정과 세 집단의 순서상관성 비교를 통해서도 경동사 연어구문을 많이 알수록 원어민 코퍼스에 나타나는 순서와 유사하게 분포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glish ability and the knowledge of light verb chunks, the vocabulary size and light verb chunks, and finally to discover how similar the order of acquired light verb chunks is to the order appearances for light verbs and its combining words in the chunks. To this end, six most widely used light verbs, do, get, have, give, make and take, are chosen to frame light verb chunks extracted from the iWeb Corpus of 14 billion words by frequency order. The subjects are from 136 students from the three different levels of universities in their SAT (scholastic ability test). Two types of test are designed to discover their knowledge of light verb chunks: a combinatorial knowledge between light verbs and their combining words and the knowledge of the meaning of light verb chunks. The findings are: First, the difference of their knowledge of light verb chunk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ross the upper, middle and lower English ability groups. Secon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tudents English vocabulary size and knowledge of light verb chunks. Finally,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frequency order of light verb chunks in the iWeb corpus and the knowledge of light verb chunks, but more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students with better knowledge of light verb chunks is more likely to keep in par with the frequency order of light verb chunks in the iWeb corpu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Web코퍼스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영어 경동사 연어 능력과 다른 언어능력의 상관성 분석
- 교직수업에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사례를 통한 핵심역량 효과 연구
- 중국 내 한국어 어휘 학습용 앱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 집단상담 교육프로그램의 구성요소 도출
- 디자인씽킹에 기반한「교과 논리 및 논술」수업 사례연구
-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를 위한 교수역량 요인 요구분석
- 국내 통일교육 관련 연구 동향
-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대학생 자녀의 대인관계문제 및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 직업흥미검사 안내 및 해석 활동이 중학생의 자기이해 수준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평생학습 촉진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사이버 대학 현황 및 만족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또래관계 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학업적 및 사회적 적응 및 사회적 성취목표와 관계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공감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교육목표 분류체계 프로토타입 개발
- IPA 기법을 활용한 NCS 기반 절삭가공분야의 실무과목에 대한 교사인식
- 영유아 수학통합교육 논문동향 분석
- VR 및 3D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경험기반 학습 프로그램이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의 거절 화행에 나타난 화용적 실패 연구
- 성인의 국어 문법 능력 실태 조사 결과 분석
- 대학생의 국가근로장학생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한국어교육에서 ‘X하다’에 대한 단계별 고찰
- 초등교사의 방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폴라니(M. Polanyi)의 지식의 통합성에 기초한 놀이 중심교육 고찰
- QR코드를 활용한 블렌디드 러닝 헤어미용 퍼머넌트 수업 효과 연구
- 인도네시아 한국어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구성주의 진로 집단상담프로그램 참가 경험
- 메이커 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중등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교과교실제 운영이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와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성장목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기여목표의 조절 효과와 인내의 매개 효과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양태 표현 교수-학습 방안 연구
- How to Improve Teacher’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Fundamental Motor Skills(FMS): The Application of a Content Knowledge Packet
- ‘글쓰기와 말하기’ 교재 개편에 따른 교수-학습 내용과 수업의 방향성
- 대학생의 개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지지와 그릿,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관계 연구
- 의과대학 신입생의 대학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행동 특성
- 예비유아교사의 이고그램과 행복감,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영향력 분석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월경태도, 월경전증후군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지도자의 지도전략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
- 경험 대화 속 서사-주체/타자의 목소리 중첩 및 다중 서사 분석
- 초등학교 5학년의 정보 전달 말하기와 쓰기 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 한국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행복감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적용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유아 신체활동 연구동향 분석
- 중학교 교육과정 내 학교스포츠클럽 강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
- 다이어그램의 개념, Bacon의 다이어그램, 그리고 Bacon의 회화적 준칙이 예술교육과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 디지털 시대 청소년 학습자의 미디어 서사 문식성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 초·중등교사, 특수교사, 전문상담(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 차이 연구
-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진로교육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감이 학습태도를 매개로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학교 교사의 비전타당도, 비전지원 조직,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조직동일시가 비전공유도에 미치는 영향
- 타인에 의한 타당화 욕구, 눈치,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디자인씽킹 프로그램 개발 연구
- 텃밭 가꾸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 소양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대학원 박사과정 수업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PISA 2022의 창의적 사고와 관련된 학생 및 학교 수준 요인: 다층효과를 중심으로
-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중학생의 창의성 관련 변수 탐색
-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메타인지에 끼치는 애매모호내성의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