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택항의 항만하역 작업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76
-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Work Safety at Port Loading and Handling in Pyeongtaek Port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선일석(Sun, Il-Seok)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30권 제3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항만 하역작업은 작업이 이루어지는 위치적 특성과 화물 및 작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타 산업에 비해 위험요인이 높은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타 산업에 비해 안전에 관련된 연구가 부족하였으며, 특히 실증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본 연구에서는 안전요인, 안전분위기, 안전행동에 대한 관계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안전문화, 자기효능감은 안전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위험인식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었다. 안전분위기는 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안전문화, 위험인식, 자기효능감 등의 모든 하역안전요인이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하역안전요인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안전문화와 안전행동과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가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과 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안전분위기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만하역 분야에서의 안전요인이 실제적인 안전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다양한 교육체계를 통해 전체 조직의 안전문화를 확립하고 작업자들의 위험인식과 자기효능감을 기를 수 있는 지속적인 전략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보인다.
영문 초록
The port unloading work has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higher risk factors than other industries due to the locational nature of the work and the specificity of cargo and work. However, research related to safety was lacking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nd in particular, empirical research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attributes,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 Safety culture a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afety climate, but risk perception did not. The safety climate had a positive (+) effect on safety behavior, and all unloading safety attributes such as safety culture, risk perception, and self-efficacy were influencing safety behavi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afety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loading safety attributes and safety behavior, the safety atmosphere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ty culture and safety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afety behavior, the safety climat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afety climate in the port unloading field are leading to practical safety behaviors. In addition, continuous strategic support to establish the safety culture of the entire organization and raise the worker s risk awareness and self-efficacy through various education systems in the future It seems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연구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천지역의 콜드체인 물류거점화 전략에 관한 연구
- Extraction and Analysis of Risk Driver in a Supply Chain based on Text Mining Method
- 중국 자동차 산업의 공급체인통합이 물류 유연성과 공급체인위험관리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DEA를 활용한 한·중·일 주요 국제공항의 효율성 분석 연구
- 평택항의 항만하역 작업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국내 콜드체인 의약품 운송의 개선방안
- DIY 온라인쇼핑몰의 쇼핑동기와 품질속성이 고객만족,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전자무역시 ERP가 수출입 물류 효율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무역학분야 NEW
- 한-중 FTA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엄격성 차이에 관한 연구
- 미국 반도체과학법의 시행에 대한 연구: 한국에 미치는 입법적 동향의 관점에서
- 중국의 분쟁해결의 실무에서 다단계분쟁해결조항의 적용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