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L 268 목재화원에 따른 화재특성 전산해석
이용수 63
- 영문명
- A study on the Fi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UL 268 Wood Fir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이가현(Ga Hyeon Lee) 김시국(Si kuk Kim) 이성은(Sung Eun Lee) 이승철(Seung-Chul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8~58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2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글로벌 안전인증 전문기업인 UL에서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UL 인증을 포함하여 CB, CE, FCC 등 국내외 인증에 대한 시험, 검사, 분석, 심사, 검증 및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UL에서 인증하는 UL 표준은 1,500개가 넘으며, 본 연구에서 필요한 표준은 UL 268이다. UL 268은 화재 경보 시스템용 연기감지기를 제작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연기감지기의 감도 시간을 알아보기 위해 UL 268을 참고하여 종이화원 화재 실험을 진행하였고,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해 감지기 개수 등 변수를 추가하여 화재특성을 알아보았다.
연기감지기의 감도 테스트를 위한 화재시험실은 길이 11m, 너비 6.7m, 높이 3.0m로 UL 268의 기준을 참고하여 제작하였다. 목재화원의 가연물은 Douglas Fir Strip(미송)으로 이루어진 3층 구조의 목재브랜드이다. 각 스트립 단면은 19.1mm인 정사각형이며, 길이가 152mm로 각 층에 6개의 스트립이 포함되어 있다. 목재브랜드의 전체 치수는 152×152×64mm로, 목재 스트립은 서로 직각으로 인접한 층과 함께 못 또는 스테이플러로 고정되어야 한다. 가연물은 시험 전 최소 48시간 동안 온도 23±2℃, 상대습도 50±5%로 전처리하였고, 바닥으로부터 0.9m 위에 위치한 직경 127mm의 링(고리) 지지대 위에 장착하였다. 목재화원 시험은 5% 에탄올이 변성제로 첨가된 95% 에탄올로 이루어진 변성 알코올 4ml를 연소시켜 점화시킨다. 알코올은 직경 38mm, 깊이 25.4mm 금속용기에 넣고, 그 금속용기의 바닥은 목재브랜드의 하단으로부터 89mm 아래에 중앙에 위치하며, 화염이 목재브랜드의 상단을 관통하지 않도록 한다. 시험은 점화 후 4분이 경과되었을 때 종료하였다. 각 감지기의 응답시간은 4분 이내로 측정하였다.
화재시뮬레이션은 앞서 설명한 UL 268 기준의 목재화원 시험과 동일한 규격과 조건에서 수행하였으며, 화재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미국 NIST에서 개발한 FDS를 사용하였다. FDS 프로그램의 전처리 및 후처리(Pre & Post-Processing)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Pyrosim을 사용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장실사를 통한 가상원전의 운전원 수동조치 타임라인 타당성 검증 방법
- 스프링클러 설비의 적정유지관리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선박용 자연배연구 성능 검토
- 경수로 및 중수로 원전의 화재안전정지분석 차이점 비교
- 오토바이 ABS 화재위험성의 관한 연구
- 연기농도에 대한 FDS와 CFAST의 모델 불확실도 연구
- 임시가연물 화재로 인한 다중 전기패널 손상의 외기조건에 대한 민감도 분석
- 화재안전개념트리와 화재성장단계의 연관성 연구
- 일본 긴급소방원조대의 출동 대비 훈련 실태 분석
- 구획 벽면에 의한 열 피드백이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
- NUREG/CR-6850 Task 9의 Hot Probe 기법을 적용한 표준형 원전 상세회로분석 방법
-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회복실에 관한 연구
- 건축물 내화성능기준의 화재역학 분석의 필요성 및 화재실 온도예측에 관한 연구
- 국내·외 노유자시설 관계법령 분석
- “Chung’s Equations-II”에 의한 편백목재의 연기위험성 평가
- 핵주기 시설의 화재안전성 연구
- 3D 시뮬레이션 기반의 집진기 Back Draft 현상에 대한 경험적 분석
- 미분무수를 이용한 케이블 화재 진압에 대한 수치해석
- SINDA/FLUINT를 활용한 화재에 노출된 LPG 저장 탱크 파열판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AI를 활용한 소방 설비의 2D 설계도면 자동생성을 위한 연구
- 두 개의 열방출율을 이용한 국내 원전 화재 리스크 평가
- 소구획화에 의한 화재 조기감지 시험
- 휘발유/에탄올 혼합연료의 자연점화온도 예측
- UL 268 종이화원에 따른 화재특성 전산해석
- 조닝을 통한 배연시스템의 수치해석과 모형시험 연구
- 방파판 형상과 수치해석 기법에 따른 소화탱크 Sloshing 해석
- UL 268 목재화원에 따른 화재특성 전산해석
- 아 역청탄 이송타워에 설치할 소방설비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위기경보단계와 화재성장단계의 연관성 연구
- 다공 2유체노즐의 액체 풀화재 소화 성능 검토
- 계단용 양압 대피통로의 차연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 다중이용시설 건축물의 화재 풀룸의 상승시간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진동에 따른 제철소 용융 슬래그의 수증기 폭발 특성
-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스크린 분리공간의 음압확보 기술에 관한 연구
- 건축물 수직공간의 압력차 분석을 위한 축소모형 실험에 관한 연구
- 발전소 지하전력구 제연설비 운전에 따른 배연특성
- 화재 확률론적안전성평가를 위한 원전 주제어실 거주성 평가기준 검토 및 화재모델링 분석
- 심정지 환자에서 이동 중 가슴압박 비교
- 풀화재의 스케일에 따른 CO 및 Soot Yields의 검토
- 실리콘 졸 혼합물로 도포된 목재의 열 위험성 평가
- 에너지저장장치의 액침식 냉각소화에 사용되는 절연유체의 냉각성능 관한 연구
- 공간정보를 활용한 소방훈련 모형 연구
- 포소화제 소화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특수환경 화재 적용을 위한 소방차량용 고압 소방펌프 성능시험장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3D 공간정보 기반 시변 안전상태정보 구축
- 에어프라이어의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전기레인지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국내·외 비화재보 통계DB 수집 및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
- 대형 방화문의 내화설계 및 화재실험 분석
- 개구부와 화원 조건이 구획실 내 온도 및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 핵주기 시설의 화재 시뮬레이션 기초연구
- 상황 기반 표준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체계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화재 시 댐퍼 설치 조건이 방연풍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송풍기 DC모터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소방관의 특수방화복 사용과 관리실태
- 일반형 숙박시설의 소방시스템 문제점 분석
-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 개발의 필요성과 향후과제
- 실화 사건의 특성에 관한 연구
- RS485 통신을 이용한 전기화재예방시스템(ETEC-DPS)의 개발
- 건축물 용도별 소방시설 작동유무에 따른 화재리스크 분석에 관한 연구
- 화재 시 “Chung’s equations-II”에 의한 가연성 물질의 연기 위험성
- OpenFOAM을 이용한 축소 구획실의 백드래프트 현상에 대한 대와동모사
- 내화충전구조 관통 케이블이 충전재의 내화성능에 미치는 영향
- OpenFOAM을 이용한 구획실의 헵탄 풀화재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 가동원전 및 해체원전의 화재방호 심층방어 비교분석
- 친환경을 고려한 산불진화용 포소화약제 개발에 관한 연구
- 목재 화염 화재 및 목재 훈소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에 따른 화재감지인자 비교 및 특성연구
- 화성지역의 화재특성 분석 및 정책 연구
- 수직제트기류에서 정온식 열감지기의 반응시간지수(RTI)에 관한 연구
- 해외 해체원전 화재방호 규제지침을 고려한 국내 해체계획서 개발 방향
- 청정가스 소화약제(IG-01, IG-541, IG-100)를 이용한 소듐금속화재 적용성 분석
- PIRT 기법을 활용한 원전 주제어실 화제위험 중요도 분석
- 현장지휘관 및 화재조사관 전용 호흡보호구 및 통신기 일체형 장비 개발 필요성에 대한 연구
-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플래시오버 예측에 관한 연구
- 비정상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통한 원자력발전소 화재 운전원 수동조치 타임라인 검증
- 구조보트용 프로펠러 안전가드 적합성 검증 연구
-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아날로그 감지기를 적용한 수신기 개발
- 효과적인 화재현장 대응을 위한 연결송수관 설비 활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소화 노즐의 유동 소음 저감 연구
-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충전상태에 따른 배터리화재 특성 연구
- UL 268 폴리우레탄 폼 화재의 감지인자에 대한 특성분석연구
-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실리콘 졸 혼합물로 도포된 목재의 연기유해성 평가
- 범용 등기구를 활용한 비상조명등 기술 개발
- 방염제로 도포된 목재의 플래시오버 특성
- 안전취약계층용 무동력 수직피난기구 개발 연구
-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비상방송음 음성명료도 예측 및 평가
- 노유자시설에 대한 소방설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화재시 운전원 수동조치의 미국 승인 사례 및 국내 원전 적용방안 분석
- 일본의 대규모재해 대비 긴급소방원조대 분석
- 경질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소형 사무기기의 발열속도곡선 모델화
- 재난문자방송 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아르곤 분위기에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의 열폭주 전파 특성 실험 연구
- 먼지에 의한 화재감지기 비화재보 시험
-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소(NIOSH)의 소방관 사망조사 및 예방 프로그램 분석 연구
- 숙박시설의 화재 위험성 및 피해 경감 대책
- 최신 방법론을 활용한 국내 참조원전 유류화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