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재시 운전원 수동조치의 미국 승인 사례 및 국내 원전 적용방안 분석
이용수 93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U.S. Approval of Post-fire Operator Manual Action and Application Method to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재환(Jae Hwan Kim) 박준현(Jun Hyu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논문집』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5~25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02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년 12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고시 제2015-11호(현 2018-9호)를 발행하여 국내 전 원전에서 화재 후 안전정지 달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중오동작(Multiple Spurious Operations, MSO) 문제를 분석하고 필요한 개선 조치를 수행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에 따라 국내에서는 미국 원전사업자협회(Nuclear Energy Institute, NEI)에서 발행한 NEI 00-01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MSO 분석을 수행 중이다.
MSO 분석에서는 화재 시 5가지 화재안전정지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기를 선정하여야 하고 이들 기기는 안전정지 달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에 따라 고온정지 필수기기(Required Hot Shutdown Components, RHSCs), 안전정지 중요기기(Important to Safe Shutdown Components, ISSCs)로 구분된다. NEI 00-01에서는 ISSCs에 한하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장 운전원 수동조치(Operator Manual Action, OMA) 적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에서도 OMA를 통한 MSO 문제 해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에서는 가동원전 104개 호기 중 약 절반에 해당하는 원전이 NFPA 805에 따른 위험도정보활용 성능기반(Risk-informed Performance-based) 방법론으로 전환하였으며, 나머지 원전 중 11개 호기가 OMA에 대한 승인을 신청하였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NRC)는 자료 검토, 현장 검증, 질의 답변 등을 통하여 신청된 OMA를 검토 및 승인하고 있다. OMA를 신청한 미국 원전 중 하나인 Millstone 2 원전은 NUREG-1852에 근거하여 OMA 이행 가능성 평가 결과를 제출하고 NRC와 약 10여차례에 걸친 질의답변 등을 거쳐 화재 시 적용하는 OMA를 승인 받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Millstone 2 원전의 OMA 승인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원전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장실사를 통한 가상원전의 운전원 수동조치 타임라인 타당성 검증 방법
- 스프링클러 설비의 적정유지관리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선박용 자연배연구 성능 검토
- 경수로 및 중수로 원전의 화재안전정지분석 차이점 비교
- 오토바이 ABS 화재위험성의 관한 연구
- 연기농도에 대한 FDS와 CFAST의 모델 불확실도 연구
- 임시가연물 화재로 인한 다중 전기패널 손상의 외기조건에 대한 민감도 분석
- 화재안전개념트리와 화재성장단계의 연관성 연구
- 일본 긴급소방원조대의 출동 대비 훈련 실태 분석
- 구획 벽면에 의한 열 피드백이 화재특성에 미치는 영향
- NUREG/CR-6850 Task 9의 Hot Probe 기법을 적용한 표준형 원전 상세회로분석 방법
- 재난현장 소방공무원의 회복실에 관한 연구
- 건축물 내화성능기준의 화재역학 분석의 필요성 및 화재실 온도예측에 관한 연구
- 국내·외 노유자시설 관계법령 분석
- “Chung’s Equations-II”에 의한 편백목재의 연기위험성 평가
- 핵주기 시설의 화재안전성 연구
- 3D 시뮬레이션 기반의 집진기 Back Draft 현상에 대한 경험적 분석
- 미분무수를 이용한 케이블 화재 진압에 대한 수치해석
- SINDA/FLUINT를 활용한 화재에 노출된 LPG 저장 탱크 파열판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AI를 활용한 소방 설비의 2D 설계도면 자동생성을 위한 연구
- 두 개의 열방출율을 이용한 국내 원전 화재 리스크 평가
- 소구획화에 의한 화재 조기감지 시험
- 휘발유/에탄올 혼합연료의 자연점화온도 예측
- UL 268 종이화원에 따른 화재특성 전산해석
- 조닝을 통한 배연시스템의 수치해석과 모형시험 연구
- 방파판 형상과 수치해석 기법에 따른 소화탱크 Sloshing 해석
- UL 268 목재화원에 따른 화재특성 전산해석
- 아 역청탄 이송타워에 설치할 소방설비의 조건에 관한 연구
- 위기경보단계와 화재성장단계의 연관성 연구
- 다공 2유체노즐의 액체 풀화재 소화 성능 검토
- 계단용 양압 대피통로의 차연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 다중이용시설 건축물의 화재 풀룸의 상승시간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진동에 따른 제철소 용융 슬래그의 수증기 폭발 특성
- 감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스크린 분리공간의 음압확보 기술에 관한 연구
- 건축물 수직공간의 압력차 분석을 위한 축소모형 실험에 관한 연구
- 발전소 지하전력구 제연설비 운전에 따른 배연특성
- 화재 확률론적안전성평가를 위한 원전 주제어실 거주성 평가기준 검토 및 화재모델링 분석
- 심정지 환자에서 이동 중 가슴압박 비교
- 풀화재의 스케일에 따른 CO 및 Soot Yields의 검토
- 실리콘 졸 혼합물로 도포된 목재의 열 위험성 평가
- 에너지저장장치의 액침식 냉각소화에 사용되는 절연유체의 냉각성능 관한 연구
- 공간정보를 활용한 소방훈련 모형 연구
- 포소화제 소화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 특수환경 화재 적용을 위한 소방차량용 고압 소방펌프 성능시험장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3D 공간정보 기반 시변 안전상태정보 구축
- 에어프라이어의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전기레인지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 국내·외 비화재보 통계DB 수집 및 구축 방법에 대한 연구
- 대형 방화문의 내화설계 및 화재실험 분석
- 개구부와 화원 조건이 구획실 내 온도 및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 핵주기 시설의 화재 시뮬레이션 기초연구
- 상황 기반 표준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체계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 화재 시 댐퍼 설치 조건이 방연풍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송풍기 DC모터 화재위험성에 관한 연구
- 소방관의 특수방화복 사용과 관리실태
- 일반형 숙박시설의 소방시스템 문제점 분석
- 한국형 통합 인명안전코드 개발의 필요성과 향후과제
- 실화 사건의 특성에 관한 연구
- RS485 통신을 이용한 전기화재예방시스템(ETEC-DPS)의 개발
- 건축물 용도별 소방시설 작동유무에 따른 화재리스크 분석에 관한 연구
- 화재 시 “Chung’s equations-II”에 의한 가연성 물질의 연기 위험성
- OpenFOAM을 이용한 축소 구획실의 백드래프트 현상에 대한 대와동모사
- 내화충전구조 관통 케이블이 충전재의 내화성능에 미치는 영향
- OpenFOAM을 이용한 구획실의 헵탄 풀화재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 가동원전 및 해체원전의 화재방호 심층방어 비교분석
- 친환경을 고려한 산불진화용 포소화약제 개발에 관한 연구
- 목재 화염 화재 및 목재 훈소 화재 시 발생되는 연소생성물에 따른 화재감지인자 비교 및 특성연구
- 화성지역의 화재특성 분석 및 정책 연구
- 수직제트기류에서 정온식 열감지기의 반응시간지수(RTI)에 관한 연구
- 해외 해체원전 화재방호 규제지침을 고려한 국내 해체계획서 개발 방향
- 청정가스 소화약제(IG-01, IG-541, IG-100)를 이용한 소듐금속화재 적용성 분석
- PIRT 기법을 활용한 원전 주제어실 화제위험 중요도 분석
- 현장지휘관 및 화재조사관 전용 호흡보호구 및 통신기 일체형 장비 개발 필요성에 대한 연구
- 화재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 플래시오버 예측에 관한 연구
- 비정상 시나리오 시뮬레이션을 통한 원자력발전소 화재 운전원 수동조치 타임라인 검증
- 구조보트용 프로펠러 안전가드 적합성 검증 연구
- 비화재보 방지를 위한 아날로그 감지기를 적용한 수신기 개발
- 효과적인 화재현장 대응을 위한 연결송수관 설비 활용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소화 노즐의 유동 소음 저감 연구
-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충전상태에 따른 배터리화재 특성 연구
- UL 268 폴리우레탄 폼 화재의 감지인자에 대한 특성분석연구
-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실리콘 졸 혼합물로 도포된 목재의 연기유해성 평가
- 범용 등기구를 활용한 비상조명등 기술 개발
- 방염제로 도포된 목재의 플래시오버 특성
- 안전취약계층용 무동력 수직피난기구 개발 연구
-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비상방송음 음성명료도 예측 및 평가
- 노유자시설에 대한 소방설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화재시 운전원 수동조치의 미국 승인 사례 및 국내 원전 적용방안 분석
- 일본의 대규모재해 대비 긴급소방원조대 분석
- 경질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소형 사무기기의 발열속도곡선 모델화
- 재난문자방송 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아르곤 분위기에서 리튬이온배터리 모듈의 열폭주 전파 특성 실험 연구
- 먼지에 의한 화재감지기 비화재보 시험
-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소(NIOSH)의 소방관 사망조사 및 예방 프로그램 분석 연구
- 숙박시설의 화재 위험성 및 피해 경감 대책
- 최신 방법론을 활용한 국내 참조원전 유류화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