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대중국 투자가 대미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35
- 영문명
- The Effect of Korea’s FDI to China on Korea’s Exports to United States
- 발행기관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 저자명
- 김완중(Wan-Joong Kim)
- 간행물 정보
-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29卷 第4號,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중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가 한국의 미국에 대한 수출에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직접투자와 수출간 관계에 대한 국내의 대부분 기존 연구들은 한국의 전체적인 직접투자와 수출관계 또는 특정국가(중국, 동남아 등)에 대한 직접투자와 해당 국가에 대한 수출관계 분석에 집중하고 있는반면 본 연구는 한국의 특정 국가에 대한 직접투자가 제3국에 대한 수출에 미치는 간접적인 효과를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투자대상국인 중국과 한국의 주요 최종재 수출대상국인 미국에 대한 수출 관계를 VECM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는 한국의 미국에 대한 수출을 대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비재 수출에 있어서 그러한 대체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스웨덴 기업들의 해외투자가 모기업의 제3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Svensson(1996)의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hows that overseas direct investment could affect home country’s exports to the third country. In this empirical study, I analyze the impact of Korea’s direct investment to China on her export to United States. Based on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the increase of Korea’s direct investment to China decreases her export to United States. The empirical results shows that the negative impact of direct investment to China on exports to United States is larger for exports of consumption goods than total exports of goods.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firms operating in China have exported their products produced in China to United States and their exports have replaced home country’s exports to United States. This substitut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Korea is robust regardless of empirical models applied. The empirical result based on Korean data is consistent to Svensson(1996)’s research results based on Swedish data.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의 대중국 직접투자와 대미국 수출 관계
Ⅲ. 요약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