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pping of QTL for Spike Length in Doubled Haploid Population of Korean Wheats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강택규(Taek-Gyu Kang) 김경민(Kyung-Min Kim) 강성욱(Seong-Wook Kang) 강천식(Chon-Sik Kang) 전재범(JaeBuhm Chun) 박철수(Chul Soo Park) 조성우(Seong-Woo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2 No.2, 104~114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quantitative trait loci (QTL) of spike length by association analysis with 94 doubledhaploid wheat lines derived from Keumkang and Olgeuru. Days to heading date, culm length, spike length, and kernels per spike were evaluatedin 2017 and 2018 in upland conditions. Culm length and spike length were biased short culm length and spike length (skewness=0.2 and1.5, respectively). Kernel number per spike was biased low kernel number per spike (skewness=0.8). A genetic map was constructed with170 microsatellite marker loci. One QTL was detected for spike length. The QTL on chromosome 4A, qSL-1 was detected by Xwmc283and Xbarc327 explained 44.3% of the phenotypic variation. The QTL was applied to val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otypes of QTLand 29 Korean wheat cultivars grown for nine years under upland conditions. Korean wheat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b ased onthe combination of the two SSR markers. In Korean wheat cultivars, genotype b at Xbarc327, which was homozygous to Keumkang, had ashorter spike length (7.48 cm) than genotype c,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genotypes of Keumkang and Olgeuru, (8.45 cm). The two Koreanwheat cultivars with genotypes ac at Xwmc283 and Xbarc327 had longer spike length (8.45 cm) than genotypes ba and bb (<7.42 cm).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랑종피 결각엽 녹두 품종 ‘삼황’
- 촉성재배에 적합한 딸기 품종 ‘금실’
- 통일형 벼 ‘신광’ 유래 키다리병 저항성 qBK1 유전자 보유 ‘MY299BK’ 육성
- 팁번에 강하고 다수성 청치마 상추 ‘삼복하청’ 육성
- Shuttle Breeding을 통한 벼 내냉성 유전자원 ‘중모1022’
- 이형접합 Pinb-D1 유전자형이 밀가루 이화학적 특성 및 가공 적성에 미치는 영향
- 알파-리놀렌산 함량이 높고 소분지 직립초형인 종실들깨 ‘소담’ 육성
- 건식 쌀가루 특성이 개선된 ‘미시루’의 농업적 특성
- 반수체 밀 계통을 이용한 이삭 길이 관련 유전자좌 분석
- 밀 줄녹병 저항성 유전 육종 주요 연구 동향
- 자색종피 조숙 대립 다수성 풋땅콩 신품종 ‘세원’
- 호남평야지 재배시기별 조생종 벼 품종의 수량과 이삭 관련 형질 특성 분석
- 숙기가 빠르고 식미가 우수한 단옥수수 ‘고당옥1호’
- 만생 복합내병충성 고 바이오매스 사료용 벼 ‘청우’
- 4배체이면서 자가화합성으로 비가림하우스 재배에 적합한 구기자 신품종 ‘화수’
참고문헌
관련논문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BEST
- 한국 차 산업 동향 분석을 통한 정책 대안 모색
- Effect of media components on hyperhydricity in horticultural crops: A review
- 대체 감미료를 활용한 저칼로리 콤부차 제조 및 특성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