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체계화 및 표준화 방안 연구

이용수  200

영문명
A Study on the Systemat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Safety Education on Hazardous Substances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임경민(Kyung Min Lim) 김소영(So Young Kim) 이슬기(Seul Gi Lee) 안수빈(Su Bin An) 윤이(Yi Yoon) 마병철(Byung Chol Ma)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6 No.4, 45~5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학사고는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물질의 취급과 관리를 통한 예방이 중요하다. 효과적인 사고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인적요인 관리의 일환으로 유해화학물질 취급자및 관리·감독자에 대한 안전교육이 관련 법령을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표준지침, 세부 콘텐츠 등의 부재로 표준화된 교육체계 마련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화학물질관리법에 명시된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대상자별 교육내용을 기반으로 국·내외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현황과 유사 교육현황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대상자별 직무 및 역할분석, 요구역량 및 필요기술의 도출 과정을 거쳐 표준 교육지침을 개발하였으며, 도출된 필요기술 등을종합하여 세부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육과정을 설계함으로써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의 기준을 마련하고 체계를 확립하는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reventing chemical accidents by safe handling and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is important because the accidents could have fatal impact on the human and the environment. Safety education for hazardous substance handlers, managers and supervisors has been legally supported in South Korea as part of the personnel management for effective prevention and response to accidents. However, the absence of standard guidelines and detailed contents raises the need for a standardized education system.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tents for each type of safety training for hazardous chemicals as specified in the Chemical Substance Control Act,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education on hazardous chemicals in South Korea and similar educational programs in other countries to derive the implications. The standard educational guidelin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duty and roles, required competencies, and necessary skills for each educational target. A standardization plan was also proposed to establish a system and prepare standards for safety education on hazardous substances, including contents development and curriculum design integrated with required technologies.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과정 개선방안 관련 선행연구 검토
Ⅲ. 국내·외 유사 안전교육 현황 조사·분석
Ⅳ. 안전교육 대상자별 역할 및 필요기술 분석
Ⅴ.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경민(Kyung Min Lim),김소영(So Young Kim),이슬기(Seul Gi Lee),안수빈(Su Bin An),윤이(Yi Yoon),마병철(Byung Chol Ma). (2020).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체계화 및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6 (4), 45-56

MLA

임경민(Kyung Min Lim),김소영(So Young Kim),이슬기(Seul Gi Lee),안수빈(Su Bin An),윤이(Yi Yoon),마병철(Byung Chol Ma). "유해화학물질 안전교육 체계화 및 표준화 방안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6.4(2020): 45-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