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중․미․일 4개국 소비자의 안전의식과 안전관리서비스에 대한 평가
이용수 18
- 영문명
- Consumers Safety Perception and Evaluating the Safety Management Service: Comparative Analysis among China, Japan, USA, and Korea
- 발행기관
- 국가위기관리학회
- 저자명
- 유현정(Hyun Jung Yoo) 이재은(Jae Eun Lee)
- 간행물 정보
- 『국가위기관리학회보』제2권 제2호, 33~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서울), 중국(상해), 미국(뉴욕), 일본(동경)의 국민들이 갖고 있는 자국의 안전에 대한 인식 및 안전관리서비스에 대한 의식 및 평가를 분석, 비교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안전관리서비스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안전에 대한 일반적 인식과 안전관리서비스에 대한 기대, 성과,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중국이 자국의 안전도를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었고, 안전의식이나 안전에 대한 기대, 성과, 만족도 모든 측면에서 가장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그리고 한국과 일본은 안전관리 서비스에 대한 기대인식이 낮은 반면, 미국과 중국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미국은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된 안전위해의 경험과 이에 대한 소비자시민의 저항 경험이 전체적으로 안전에 대해 높은 기대를 형성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중국의 경우는 나머지 3국과 달리 사회주의체제가 갖는 특성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즉 체제적 특성이 국가에 대한 강한 확신과 신뢰를 형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afety perception condition of the four cities citizens and compare the quality of public safety management service among China, Japan, USA, and Korea.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s of safety management service improvement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related with safety perception to us. To do this, we have chosen 4 global cities, Beijing, Tokyo, New York, and Seoul, to compare the safety perception level among China, Japan, USA, and Ko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of safety ensuring behaviors among four countries,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safety ensuring behaviors of Chinese citizens are highest in almost domains except the domain of safety management investment. Peculiarly, safety ensuring behaviors score of USA were lower than China and Korea. And Japan s score of safety ensuring behaviors were the lowest among 4 countries. By theses findings, we can guess that almost all the citizens in China believe in their government strongly.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