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음파 탐촉자의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the Hygiene Management of Ultrasound Probe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하명진(Ha Myeong-Jin) 김정구(Kim Jeong-Koo)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3권 제2호, 87~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hygiene management of ultrasound probes by examining the cleaning tools for hygiene management of ultrasound prob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aring glove as a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the awareness of ultrasound probe hygiene. Parts 154 questionnaire about people working in the ultrasound room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single gel removal tool of the ultrasound probe was most frequently used with a 48.7% cotton towel, and for double gel removal tools, the first gel removal tool was 42.4% cotton towel and the second gel removal tool was used with 57.6% wet tissue. Antimicrobial wipe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drug and instrument used in ultrasound hygiene management at 58.4%. According to the survey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wearing glove during ultrasound examination, 46.8% were found to be unworn. When examining the intracavity ultrasound, 30.9% of those who do not wear glove and 61.0% of hygiene awareness of ultrasound probes are ‘normal’. According to age, ultrasound probe gel removal tool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p>0.05). According to the working organization and the working department,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 to wearing gloves during ultrasound examination(p<0.05).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sanitize the ultrasound probe, it is considered that a guideline for hygiene management of the ultrasound probe that fits the situation in Korea is necessar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orough hygiene management training for inspector is necessary for efficient hygiene management of the ultrasound prob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흉부 방사선영상의 좌, 우 반전 발생 여부 컨벌루션 신경망 기반 정확도 평가
- 핵의학과에서 99mTc를 이용한 방사성의약품의 투여율 측정 비교
- 디지털 방사선 영상의 편차지수를 이용한 의료영상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 초음파 탐촉자의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 Standard와 MAR 알고리즘에서 CT 검사조건 변화에 따른 인공물과 노이즈 평가
- 가공제품에 대한 생활주변방사선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통계분석
- 동일 기종 선형가속기간 8 MV 광자선에 대한 빔 매칭 정확도 평가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에서 일개 국가지정 의료기관의 이동형 병원 CT 활용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