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회의 원형으로서 “작은교회”의 회복
이용수 104
- 영문명
- The Small Church as the Prototypical Church: An Alternative for the Korean Church in the Midst of a Crisis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양현표(Yang, Hyunphyo)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51권, 115~15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교회가 위기에 직면했다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위기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의 위기는 어디서부터 연유되었을까?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필자는 모든 원인이 집약되어 나타난 교회의 대형화와 그 과정에 있다고 본다. 때문에, 필자는 위기의 한국교회를 살리기 위해 교회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작은교회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작은교회를“한 목사의 목양 범주를 벗어나지 않은 지역교회”라고 정의하며, 수치로는 100가정 정도까지의 교회를 작은교회로 규정한다. 그리고 그러한 작은교회는 ① 성경에 나타난 원래의 교회이며, ② 하나님의 창조 원리에 합당하며, 또한 ③ 현실의 대부분 교회가 작은교회라는 사실에서 그 합당성을 찾는다. 필자는 작은교회의 유익함을 ① 진정한 공동체, ② 참된 목양, ③ 양질의 제자화, ④ 한국교회의 미래라고 보고 있다. 이러한 작은교회를 잘 육성하기 위하여 필자는 ① 작은교회의 목사 자신이 우선 바른 신학과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하며, ② 작은교회의 경제적 어려움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해결해야 하며, ③ 교회성장에 대한 성경적 패러다임을 확립해야 하고, ④ 작은교회로서 생존할 수 있는 작은교회만의 특화된 사역을 개발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⑤ 이 땅의 대부분인 작은교회 전문 목사들을 배출할 수 있는 신학교 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e Korean Church faces a real crisis. Where does this crisis come from? There may be many causes, but the root is in the model of the large church and, moreover, the processes that are necessary to become a large church.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that a return to the small church as the prototypical church is needed in order to save the Korean Church from its crisis. A small church is defined as “a local church that does not go beyond the pastoral ability of a pastor” and has a numerical size of 100 families. This kind of church is ① typical of the early church as it appears in the Bible, ② is worthy of God’s principle of creation, and ③ is reflected in historical experience wherein most churches are small churches. The benefits of a small church are ① true community, ② true pastoring, ③ making high quality disciples, and ④ the recovery of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develop such small churches well this paper suggests ① establishing a proper theology and identity of the pastor of a small church, ② address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the small church, ③ establishing a biblical paradigm of church growth, ④ developing special ministries to resource small churches to sustain its survival, and ⑤ providing a seminary curriculum and education to develop small church specialist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흔들리는 한국교회를 위한 대안으로써 작은교회와 그 정의
3 작은교회의 당위성
4 작은교회의 순기능
5 작은교회를 위한 제언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