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들 아트의 아트마케팅 활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456

영문명
Study on the Art Marketing Use of Doodle Art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이서현(Lee, Su Hyun) 이창근(Lee, Chang Keun)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1(통권 14권), 21~3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가 예술가들의 소통 창구와 포트폴리오로 이용되면서 두들 아트(Doodle Art)가 새로운 미술 흐름으로 주목받고 있다. 두들 아트란 끄적이는 무의미한 낙서를 하는 행동이라는 뜻의 두들(Doodle)에서 비롯된 용어로, 예술가가 즉흥적으로 그려내는 선화 드로잉 방식의 미술이다. SNS에 업로드 되는 두들 아트 드로잉 영상들이 대중의 흥미를 불러일으켜 미스터 두들(Mr. Doodle)이나 존 버거맨(Jon Burger man)과 같은 두들 아티스트들이 높은 인기를 얻고 있고, 국내외 두들 아티스트들의 전시 개최와 브랜드 협업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두들 아트는 낙서화나 그래피티(Graffiti) 같은 비슷한 개념들과 구분이 모호하고, 상업적 활용도에 관한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두들 아트가 아트마케팅에 활용하기 적합한 미술 형태인지 연구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아트마케팅의 개념과 목적, 유형을 조사한 결과 아트마케팅은 예술을 마케팅 활동에 접목해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이미지를 고급스럽게 하며, 현대 아트마케팅의 성공전략은 소비자와 예술가 사이의 소통,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파악했다. 낙서화의 개념과 두들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보편적이며, 즉흥적이고, 일관적이라는 두들 아트의 특성을 도출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두들 아트는 대중에게 크게 어필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예술가의 작업 과정에 이입할 수 있는 예술적 소통의 도구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두들 아트의 아트마케팅 사례를 4가지 아트마케팅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두들 아트는 모든 유형의 아트마케팅에 활용되었고, 보편적이고 즉흥적인 특징이 소비자의 프로모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기 때문에 두들 아트는 현대 아트마케팅 활용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As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Instagram and Facebook are used as artists communication channels and portfolios, Doodle Art is drawing attention as a new art stream. Doodle art is a term originated from Doodle which means to draw lines when bored or thinking about something else. The videos of artists creating Doodle Art uploaded to SNS arouse the public s interest, and Doodle artists such as Mr. Doodle and Jon Burgerman are gaining popularity. Number of exhibitions and brand collaborations featuring Doodle Artists is also on the rise. However, Doodle art is still indistinguishable from similar concepts such as graffiti art, a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its commercial application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oodle art is an appropriate form of art for art market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cept, purpose, and type of art marketing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art marketing is a term for a marketing strategy that combines art with marketing activities to raise consumer s awareness of the company and present a good image of the brand. To make the strategy successful, including channels in which consumers and artists can communicate to marketing strategy and engaging consumers with promotions is essential. Through former research on the concept of doodle and works of Doodle Art,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Doodle Art were universal, improvised, and consistent. Due to these characteristics, Doodle art can appeal greatly to the public and spark artistic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audiences through the artist’s work process. After analyzing the art marketing cases using Doodle Art according to four types of art marketing, it was found that Doodle Art was used for all four types of art marketing. Because the universal and improvised features actively induce consumers to participate in the promotion, Doodle Art is considered suitable for the use of modern art market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두들 아트를 활용한 아트마케팅 사례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서현(Lee, Su Hyun),이창근(Lee, Chang Keun). (2020).두들 아트의 아트마케팅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5 (1), 21-32

MLA

이서현(Lee, Su Hyun),이창근(Lee, Chang Keun). "두들 아트의 아트마케팅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5.1(2020): 2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