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river Moral Codes in Autonomous Vehicles Dilemma Scenarios from Human Driver’s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이기쁨(Lee, Gi-bbeum) 임지민(Rhim, Jimin) 강남우(Kang, Namwoo) 이지현(Lee, Ji-hy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5, No. 1(통권 14권), 125~13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율주행 자동차는 피할 수 없는 교통사고로 인해 인명 피해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최선의 행동을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도덕적 딜레마는 자율주행 자동차에 탑재할 도덕 시스템의 연구를 촉구한다. 도덕심리학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도덕적 딜레마 시나리오에 대한 사람의 추론을 토대로 운전자의 도덕 코드를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언제” 운전자가 교통사고 상황에서 도덕적 딜레마에 빠질 수 있으며, 그 상황에서 “어떻게, 왜” 도덕적 의사결정을 내리는가 라는 질문을 정성적으로 탐구한다. 교통사고의 도덕적 딜레마 시나리오에 대한 사고 실험 결과, 사람의 관점에서 운전자의 도덕 코드를 구조화하였다. 평정자 간 신뢰도는 K=0.35의 일치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전자가 규범, 절차, 행동적 도덕 코드에 의거하여 도덕적 의사결정을 내림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utonomous vehicles must determine the best action when its unavoidable crashes cause damage to humans. This moral dilemma urges the preparation of a moral system for autonomous vehicles. Motivated by psychological human moralit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drivers’ moral codes learned from human reasoning in Autonomous Vehicles moral dilemma scenarios. This study answers the qualitative questions, that is “when” human drivers can get into moral dilemmas in crash situations and “how and why” they make certain moral decisions in such situations. Through the thought experiment of moral dilemma crash scenarios, we organized the moral code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drivers.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codes was evaluated as K=0.35, which means fair agre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human drivers rely on the moral codes of norms, procedures, and actions to make their moral decision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론
4. 시나리오 설계
5. 실험 및 분석
6. 결과
7.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질병데이터 기반의 지리공간 데이터시각화 표현에 관한 고찰
- 자율주행 자동차의 딜레마 시나리오에서 운전자 관점의 도덕 코드
- 블록체인 기반의 미술품 플랫폼 사례 분석
- 대량 맞춤옷장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 및 구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두들 아트의 아트마케팅 활용에 관한 연구
- 전통 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성 연구
- 정원 식재 디자인의 구성 요소 특성 고찰
- 종이책의 물성에 따른 수용자 감성작용에 관한연구
- 한국 현대 칠보공예의 성장배경과 조형적 특성
- 인간적 추구 성향에 따른 넛지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어촌환경개선 공공디자인제안 연구
- 산학맞춤형 캡스톤디자인 교육사례 연구
- 중국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Ne zha)의 캐릭터에 나타나는 방어기제의 성숙도 변화 분석
- ‘플렉서블 입체모델’의 채색 효과 검토
- 사용자 맞춤 화장법 추천을 위한 얼굴형 분류 기술 동향
- 아트 컬래버레이션 디자인의 비즈니스 활용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 서사에서 캐릭터의 대한 작용력의 방향성을 통한 항력과 불가항력의 변화 분석
- 입체녹화 지속가능 디자인의 경제성 요소 간의 관계분석
- 주얼리 광고이미지의 시각적 생체신호에 나타난 주의집중 특성
- 특성화 고등학교 로고 디자인 교육에서 유의미 학습법을 활용한 수업과정 연구
- 프로젝트 학습법을 적용한 패키지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 웹 문서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전문가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가구학회 2025년 추계학술대회 프로그램
- 기하학적 형태를 활용한 가구 디자인 연구 - 비대칭적 균형을 중심으로
- 서울시 수변공간 공공가구의 유형별 특성과 지속가능성 - 불광천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