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성별에 따른 신입생 대학 경험의 차이 분석
이용수 100
- 영문명
- An Exploration on gender difference in first year experience of Korean college freshme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변수연(Byoun, Su You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3호, 413~43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 대학에서 신입생으로 보내는 첫 1년은 교양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시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 동안 모든 신입생들은 각자의 개인 특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대학에서의 학업과 사회적 관계에 성공적으로 적응해야 한다. 본 연구는 신입생의 여러 개인 특성 중 성별의 차이에 주목하여 성별이 신입생의 대학 경험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방 대도시 소재 4년제 남녀공학 대학교의 신입생 461명으로 이들은 대학이 개발한 신입생 대학 경험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신입생 대학 경험은 Strange & Banning(2001, 2015)이 제시한 대학 교육환경의 위계모형에 따라 안전과 소속감의 획득 단계, 적극적 학습 참여 단계, 공동체에 대한 동화 단계 등 세 단계로 나누어 탐색되었다. 세 개의 신입생 대학 경험 관련 변수들과 여기에 영향을 끼치는 각종 개인변수들에 대한 남녀 집단 간 t-검정 결과 남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여러 영역에서 발견되었고 이 변수들로 구성된 회귀모형에서 보다 엄밀하게 성별 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표본의 여학생들은 안전과 소속감 획득 단계에서 성별의 강한 영향력을 받고 있어 여성이라는 정체성이 안전과 소속감에 끼치는 부정적 효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회 전반의 통합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다음으로 학습 참여에 대한 회귀분석에서도 성별은 여전히 유의미 수준의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어 대학 내의 양성평등 문화와 여성의 학습 참여를 촉진하는 교육 환경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공동체의 완전한 구성원 되기 단계에서는 안전과 소속감, 학습 참여가 보장될 때 성별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여학생의 순조로운 대학 생활 적응과 학문적·사회적 통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안전과 소속감 및 학습 참여의 전제조건을 충족시켜야 함을 재차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empirically the gender difference in freshmen experience in Kore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sample of the present study was 461 female and 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reshmen survey implemented by a four-year university located in a large city in Korea. Freshmen experience of the sample was explored according to the conceptual framework suggested by Strange & Banning(2001). In the analysis, meaningful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college GPA, social and economic status, and social interactions of college students. Being female was found to negatively affect student’s sense of belonging, safety, and engagement with other individual variables controlled for. However, acquiring a full membership of college community was free from the gender effect when the sense of inclusion and safety and student engagement were controlled for.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re result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4차 대학 혁명과 교양교육의 미래
- Instructors’ Use of Oral Feedback in Korean University English Classes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융합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 체제적 접근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의 단계별 과제와 쟁점
- 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비평문 쓰기 수업 방안 모색
- 통합인문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
- 도덕적 교양교육에서 교과 이미지 구성과 상상력의 기능에 관한 연구
- 교양 교육으로서 글쓰기 클리닉 운영 현황과 과제
- 대학생 성별에 따른 신입생 대학 경험의 차이 분석
- 대학생의 협업 경험, 협업 인식에 따른 협업 능력 차이 연구
- 대학생의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의사소통역량 향상을 위한 <독서와 표현> 수업의 효과성 연구
- 연계전공 참여 학생 실태조사
- 대화적 논증을 활용한 글쓰기
- 성찰적 글쓰기가 전문대 재학생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교양영어 교과목으로서 영어 프레젠테이션 수업 연구
- 성인학습자 친화형 교양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