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찰적 글쓰기가 전문대 재학생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7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Reflection Writing on Self-Esteem of University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준(Eunjune K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3호, 309~3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직업인의 양성을 목적으로 운영되는 전문대학은 일반대학에 비해 실무중심 현장형 교육이 중시되고 수업연한이 상대적으로 짧다. 이런 연유로 전문대학의 교양교과는 독립된 교과가 아닌 기초전공 성격의 기능을 주로 수행해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시대로의 진입과 학령인구 감소와 같은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실용중심의 교과 외에도 자기이해와 존중에 기반한 건강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보편적 교양교과의 필요성이 증대된다. 본 연구는 이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교과로 성찰적 글쓰기를 제안하고, 이 과정이 전문대 재학생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실제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양이 실무위주의 교과와 더불어 인간의 삶에 대한 깊은 이해와 성찰을 가능케 하고 훌륭한 시민의 자질을 갖춰나가게 만드는 보편적 교양교과의 확대 또한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University colleges are run to train professional workers. Therefore, vocation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and the length of classes is relatively shorter than general universities. For this reas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y colleges has mainly performed the functions of basic majors, not independent ones. But the entry into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rapid reduction of the school age population are progresses, not only practical subjects but also universal liberal educations that to foster healthy personality based on self-understand and self-esteem are needed. This study suggests self-reflective writing as a subject capable of performing these functions. And also confirmed that this self-reflective writing actually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mong stud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along with the practical educati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of university colleges should also provide a curriculum that enables deep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f human life and to develop the qualities of good citizen.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4차 대학 혁명과 교양교육의 미래
- Instructors’ Use of Oral Feedback in Korean University English Classes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융합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 체제적 접근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의 단계별 과제와 쟁점
- 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비평문 쓰기 수업 방안 모색
- 통합인문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
- 도덕적 교양교육에서 교과 이미지 구성과 상상력의 기능에 관한 연구
- 교양 교육으로서 글쓰기 클리닉 운영 현황과 과제
- 대학생 성별에 따른 신입생 대학 경험의 차이 분석
- 대학생의 협업 경험, 협업 인식에 따른 협업 능력 차이 연구
- 대학생의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의사소통역량 향상을 위한 <독서와 표현> 수업의 효과성 연구
- 연계전공 참여 학생 실태조사
- 대화적 논증을 활용한 글쓰기
- 성찰적 글쓰기가 전문대 재학생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교양영어 교과목으로서 영어 프레젠테이션 수업 연구
- 성인학습자 친화형 교양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