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이용수 20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al problems and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 Moderate effect of ego resilience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난(Lee Na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3권 제3호, 125~1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문제와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중에서 중1패널 7차년도 전국지역 대학교 1학년 1,327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먼저 각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주요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으며, 정서문제와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성별과 지역에 따른 대학생의 정서문제, 또래애착, 자아탄력성 및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도시 지역과 지방도시 지역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정서문제와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문제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또래애착과 자아탄력성은 삶의 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들 변수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정서문제, 또래애착 및 자아탄력성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서문제와 또래애착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정서문제와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정서문제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 속에서 대학생들이 자아탄력성을 많이 사용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집단과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으면서 자아탄력성을 잘 사용할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대학 교양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기초와 역량을 성장시켜 주는 것이라고 볼 때, 대학생의 정신건강 관련 교양강좌는 필요하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외부의 지원과 개입에 의해서 증진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서 대학생이 자주 만나게 되는 또래집단 및 선후배 그리고 교수와의 긍정적인 관계가 중요하고, 그 관계가 밀착되고 친밀할수록 자아탄력성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에 대학생의 교육과 지도과정에서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좀 더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기술습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problems and peer attachment on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n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ego - resilience. To this end, data of 1,327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the regional universities in Korea were analyzed. First, we analyz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and examined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emotional problems and the peer attachment were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 - resilienc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ego - resilienc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college students between the metropolitan and local cities. However, according to gender,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ego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Secon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and ego -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problems and satisfaction with life. Peer attachment and ego - There was one static correlation. Based on the correlation of these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al problems, peer attachment, and ego - resilience on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lives. As a result, emotional problems and peer attach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t is confirmed that it is going crazy. Finall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 - resilience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emotional problems and peer attachment on their life satisfaction, it is found that the more students use ego - resilience in the situation exposed to emotional problems, And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higher the better the use of ego - resilience was.
Based on this, if the ultimate goal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s to grow the foundation and capacity to live a healthy life, a liberal arts lecture for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is needed. Also, it is important tha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eers, seniors, and professors that college students often encounter as factors that ego - resilience can be promoted by external support and intervention. As the relationship becomes more intimate and intimate, ego - resilience can be enhanced, suggesting that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in the curriculum of college students and the acquisition of skills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are necessary.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및 해석
4.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4차 대학 혁명과 교양교육의 미래
- Instructors’ Use of Oral Feedback in Korean University English Classes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의 융합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 체제적 접근에 따른 대학 교양교육과정 개선의 단계별 과제와 쟁점
- 융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글쓰기 수업 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비평문 쓰기 수업 방안 모색
- 통합인문 교양교육에서 고전교육
- 도덕적 교양교육에서 교과 이미지 구성과 상상력의 기능에 관한 연구
- 교양 교육으로서 글쓰기 클리닉 운영 현황과 과제
- 대학생 성별에 따른 신입생 대학 경험의 차이 분석
- 대학생의 협업 경험, 협업 인식에 따른 협업 능력 차이 연구
- 대학생의 정서문제 및 또래애착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의사소통역량 향상을 위한 <독서와 표현> 수업의 효과성 연구
- 연계전공 참여 학생 실태조사
- 대화적 논증을 활용한 글쓰기
- 성찰적 글쓰기가 전문대 재학생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대학생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 교양영어 교과목으로서 영어 프레젠테이션 수업 연구
- 성인학습자 친화형 교양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