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원지향 이주의 동기와 사회경제적 속성
이용수 18
- 영문명
- Motive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suburban-oriented Migra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연구원
- 저자명
- 구동회(Koo, Dong Hoe)
- 간행물 정보
- 『부동산연구』제11권, 181~1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2.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원지향 이주동기에 관한 주요 쟁점은 “삶의 질인가, 경제적 동기인가’ 하는 문제이다. 각 가구의 이주동기에는 양자의 동기가 상호 복잡하게 얽혀 있다. 대도시 중산층이 전원주택으로 이주하는 주요한 동기는 주거와 관련된 삶의 질을 높이려는 것이며, 이는 대도시의 주거환경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와 대도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우리나라 수도권 전원주택 거주자의 사회경제적 속성과 이주동기를 분석한 결과, 도시탈출을 주도하는 인구는 직장 및 교육 문제의 제약으로 인하여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선택적인 경향을 보인다. 도시탈출 인구는 도시적 편익을 일정 정도 포기하더라도 전원적 생활양식을 추구하려는 동기에서 수도권 주변지역으로 이주한다 하지만 이들은 도시를 떠나더라도 도시를 버리지는 않으며, 도시의 유익함과 편리함, 그리고 시골의 아름다움과 건강함을 동시에 향유하고자 한다. 한국 사회의 대도시 주민들은 경관 및 생활양식이라는 동기에서 수도권 교외지역으로 이주하고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II. 전원지향 이주동기에 관한 쟁점
III. 사회경제적 속성
IV. 이주동기에 따른 유형 구분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