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적 담론 실천과 주체화

이용수  91

영문명
Educational Discourse Practice and Subjectification: Habermas and Lacan
발행기관
한국교육철학회
저자명
김은정(Kim, Eun-Jeong)
간행물 정보
『교육철학』敎育哲學 第73集,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acan and Habermas help u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ole of language and discourse in development of human subject, and also help us to see our educational activities from the bigger frame of humans and society relationship. Despite the seeming differences, they were similar in that they all have interests in fostering autonomous subject and the issue of subjectification by educational (analytic) discourse practice. Lacan and Habermas both shed lights on new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subjectivity on their own wa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하버마스의 담론이론과 의사소통적 주체
Ⅲ. 라캉의 담론이론과 주체화
Ⅳ. 교육적 담론실천과 주체화: 하버마스와 라캉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Kim, Eun-Jeong). (2019).교육적 담론 실천과 주체화. 교육철학, 73 , 1-20

MLA

김은정(Kim, Eun-Jeong). "교육적 담론 실천과 주체화." 교육철학, 73.(2019):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