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화(士禍)를 겪은 매화 분재(梅盆)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태학사
- 저자명
- 강혜선
- 간행물 정보
- 『문헌과 해석』통권 제62호, 129~132쪽, 전체 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겨울 문인의 방에 가장 잘 어울리는 화초는 무어라 해도 매화 분재(梅盆)이다. 강세황(姜世晃)이 그린 「청공도(淸供圖)」에도 보이듯이, 문방구가 놓인 책상 옆에는 괴석과 함께 심긴 매화 화분이 함께하여 맑고 그윽한 운치를 돋운다. 그래서 유독 겨울에는 문인들의 방에서 매화를 읊은 시문이 많이 지어졌다.
시를 주고받으며 남달리 각별한 우정을 나누었던 조선 중기의 시인 이행(李荇)과 박은(朴誾)은 기이한 모양의 매화 분재와 얽힌 특별한 사연을남겼다. 이행이 매화 분재를 박은에게 돌려주며 쓴 시의 제목에는 이 매화 분재의 기구한 사연이 담겨 있다.
영문 초록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끼리 코 맥(貊) 의 이미지와 기능
- 신부용당(申莩蓉當)의 학문과 순절의 삶
- 세배와 공부
- 장서각에 소장된 『정조어찰첩』
- 『와키사카기』(하)
- 새로 찾은 『성시전도시(成市全圖時)』세편과 『평양전도시(平壤全圖時)』한편
- 게이오 대학교의 와타나베(渡邊)문고와 조선통신사 자료
- 인문학을 한다는 것-『논어(論語)』
- 편집자의 말
- 신이상(申履相)의 생애와 저술
- 나운(懶雲)신우상(申禹相)의 삶과 시문(詩文)
- 그림 대신 준 글씨, 연암(燕巖)의 「불이당기(不移當記)」다시 읽기
- 생활 태도 변화 유도를 위한 출판물들
- 상해방서기(上海方書記)
- 백마강의 역사 기행
- 사화(士禍)를 겪은 매화 분재(梅盆)
- 일본(日本) 동양문고(東洋文庫)소장(所藏)『물명괄(物名括)』
- 문헌과 해석 통권62호 목차
- 한국 석탑의 독창미
- 『전주사가시권지일(奠註四家時券之一)』이덕무의 시(2)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