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고프코어 룩의 스타일링 특징
이용수 762
- 영문명
- The Styling Characteristics of Gorpcore-Look in Fashion Collection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임지영(Lim, Jiyoung) 강다정(Kang, Dajeong) 정수현(Jung, Suhyun)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3권 제3호, 23~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recent fashion trends, ugliness is understood as indicative of individuality. Pursuing functionality or practicality rather than beauty, the Gorpcore look, also called “ugly fashion”, which matches outdoor items with daily clothes, is garnering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draw the images that could be expressed through Gorpcore-look and also considered the styling characteristics of each image by analyzing Gorpcore looks shown in fashion collections in the last three years. This study found that four types of images could be expressed through the Gorpcore look: classic, retro, sporty, and feminine. It also found that the crossover or layered coordination technique was utilized many tim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diverse images of Gorpcore-look also called ‘ugly fashion’, and also to draw diverse styling techniques for Gorpcore-look with the basis of outdoor ite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고프코어 룩의 이미지 별 스타일링 특징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IM 모델의 수치적 분석을 활용한 경관의 색채조화 평가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주거 정보·교육·상담 프로그램 요구도
- 락과 쪽의 복합염색에 의한 견직물의 암색 구현
- 블랙컨슈머 및 감정노동의 개념 및 현황, 주요 이슈, 근절 방안에 대한 소고
-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유아의 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부적응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 전통아얌과 자개 장식을 이용한 패션 모자 디자인 연구
- 점포내 셀프서비스기술(SST) 유형별 고객체험이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효과
-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고프코어 룩의 스타일링 특징
- 중소도시 주부들의 과일 소비실태 및 수입과일에 대한 인식
-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 멕시코 망자의 날(Día de los Muertos)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