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évolution des femmes terroristes vues à travers Muhâjirât: Autour de la France et de la Tunisie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임기대(LIM Gi-Dae)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43집, 377~40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epuis la naissance de l’État islamique(Daech), on pourra noter que le terrorisme(y compris les kamikazes), réservé aux hommes, était en train d’être transféré aux femmes. En France et en Tunisie, on peut observer que le nombre de femmes terroristes parmi les récents attentats terroristes, augmente. En effet, Muhȃjirȃt, qui cherche à partir un conjoint comme la Syrie, est de plus en plus impliqué dans les groupes terroristes.
L’augmentation du nombre de femmes terroristes mène la situation difficile et instable en France et en Tunisie. De nombreux aspects résultant de problèmes sociaux et économiques, et pas seulement de l’islam, assombrissent l’instabilité sociale de la région. De plus, ces femmes prêchent activement les idées de groupes terroristes tels que Daech et les mettent en pratique dans leur vie. C’est encore plus grave en Tunisie, considérant que les droits des femmes sont élevés dans les pays islamiques.
Dans cet article, nous avons examiné l’évolution des terroristes islamiques, en particulier des femmes, à travers le concept de Muhȃjirȃt. En particulier, nous avons examiné les récents terroristes des femmes qui sont devenues un dilemme en France et en Europe, ainsi que l’évolution des femmes et des kamikazes en Tunisie.
목차
1. 들어가는 글
2. 튀니지·프랑스의 자살폭탄테러와 ‘무하지라트’
3. 이슬람 테러집단의 홍보 전략
4.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미지를 통한 역사의 독해가능성 연구
- 창조된 정체성
- 프랑스 지식인의 역할
- 영화 <증오>의 시각적 내러티브 방식 연구
- 한국인 학습자와 원어민 화자의 한불번역 비교에 관한 연구
- 데카르트의 『정념론』으로 읽는 공포
- ‘무하지라트’(Muhâjirât)를 통해 본 여성 테러리스트의 진화
- Une grammaire du vocabulaire de base et une ontologie des situations de son usage en vue de l’enseignement et de l’évaluation du français
- La réhabilitation de Voltaire
- 엘리자 수아 뒤사팽의 『파친코 구슬』에서 본 디아스포라 서사
- 유럽연합의 문화주권을 찾아서
- 만화속‘아프로퓨처리즘(Afrofuturism)’의두양상
- 공연예술 지원정책과 비정규직 문제 고찰
- 이브리 Ivry의 아르토와 폴 테브냉
- 프랑스어 성구소 « être Adj comme Nanimal »을 통해 본 문화
- 엠마 보바리의 초상(肖像)
- 프랑스의 아프리카 농업 ODA정책과 시사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