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크립트 텍스트 유형에 따른 쉐도잉 기법 활용이 영어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이용수 347
- 영문명
- The Effects of Shadowing Based on the Text Types of Listening Script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영어독서교육학회
- 저자명
- 지은숙(Ji, Eun-sook) 어도선(Eur, Do-seon)
- 간행물 정보
- 『English Reading and Teaching』Vol.4 No.2, 67~9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hadowing on the learner s listening proficiency when exposed to three different text types of the listening scripts. A total of 9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entence group, explanatory text group, and narrative text group. Three groups were given pre- and post-listening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hree group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listening scores, showing the biggest gap by the narrative text showing group, followed by the sentence showing group and explanatory text shadowing group. Secondly, there was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but the average scores of the post-test was higher in order of sentence group, narrative text group, and explanatory text group, and the difference in average scores improvem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was larger in order of narrative text group, sentence group, and explanatory text group.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조선업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중언어학』 연구의 동향 분석 및 향후 방향 - 토픽 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학습자 언어 연구의 역사와 전망: 『이중언어학』 제1호~제99호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