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410

영문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Young Children’s Song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김미경(Kim, Mee Kyoung) 권정윤(Kwon, Jeong Yoo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76집, 135~1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유아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문헌연구, 요구 조사, 프로그램 시안 구성 및 검토 단계를 거쳐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구성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16년 8월 29일부터 12월 9일까지 15주 동안 주 2회씩 총 29회에 걸쳐 W시 E유치원의 만 4세 두 개 반의 유아 54명(실험집단 27명, 비교집단 27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안재신, 한애향(1999)의 음악적 태도, Gordon(2004)의 PMMA, 이병래(1997)의 정서지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독립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 음악 적성, 정서지능을 증진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에서 동요 지도의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유아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children’s song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or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e program,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analyzing the nee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program drafting and review process. The participants were 54 children(the experimental group: 27 children, the comparison group 27 children) in two classes, aged 4 years at E kindergarten located in W provinc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activities using children’s song over a total of 29 sessions for 15 weeks from August 29 to December 9, 2016.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took music classes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Nuri Curriculum’s everyday theme, led by the classroom teach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the tools for measuring musical attitude in children developed by Ahn and Han (1999), and PMMA, a tool to measure musical aptitude in children developed by Gordon(2004), as well as the tool for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developed by Lee (1997) were used.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by group.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on the mean of pre and post-scores of each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 using children’s so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 s musical attitude, musical aptitud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onfirmed that it can be applied as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children’s so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roposed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eaching plan using children’s song for easy use by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구성
Ⅲ.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적용 효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Kim, Mee Kyoung),권정윤(Kwon, Jeong Yoon). (2019).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육연구, 76 , 135-165

MLA

김미경(Kim, Mee Kyoung),권정윤(Kwon, Jeong Yoon). "동요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육연구, 76.(2019): 135-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